![[전주=뉴시스]윤난슬 기자 = 전북 전주시와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은 지난해 12월 준공한 '탄소소재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테스트베드(성능시험장)'의 시범운영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11일 밝혔다.(사진=전주시 제공)](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11/202504111402216338_l.jpg)
이 성능시험장은 항공·모빌리티·에너지·환경 등 탄소소재가 적용되는 핵심 수요산업과 연계한 기술 사업화 및 수요 창출을 위한 시설이다.
지난 3년에 걸쳐 총 19종의 신규 장비가 한국탄소산업진흥원과 캠틱종합기술원 내에 구축됐다.
연면적 4707㎡, 지상 2층 규모로 조성된 이곳에서는 앞으로 수소저장용기, 개인용 비행체(PAV·UAM), 연료전지, 풍력블레이드 등의 시험분석과 시제품 제작, 성능평가, 신뢰성 평가 등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시는 탄소소재부터 중간재, 부품, 완제품에 이르는 완결형 밸류체인을 구현할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 장비 이용을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이 운영하는 탄소산업 공동활용 플랫폼 '카보넷'(www.carbonet.or.kr)을 통해 사용 가능 장비 목록과 기술 요소별 적합한 장비 정보 확인 및 이용 신청이 가능하다.
중소기업은 장비 사용료의 40%를, 중견기업은 30%를 각각 할인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 이 사업은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탄소소재 모빌리티·에너지·환경 분야 적용 테스트베드 구축 공모 사업'에 선정, 국비 128억원 등 총 158억원을 투입해 추진됐다.
실제 시험 운영 기간 더원(전북 완주군 소재)은 수소탱크용 라이너 제조시스템 장비를 활용해 승용차용 수소탱크 라이너의 공정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시험을 진행했으며 넬솔루션(대구광역시 소재)은 열가소성 오가노시트 컨솔리데이션시스템을 이용해 기능성 아웃도어 의료용 합성소재 개발을 위한 테스트를 수행하기도 했다.
임숙희 시 경제산업국장은 "이번 테스트베드 구축을 계기로 국내 탄소소재 기업들이 제품 개발 및 실증 과정을 보다 신속히 추진하고 상용화 가능성도 크게 높아질 것"이라며 "앞으로도 특화단지 내 최고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보다 많은 관련 기업이 탄소소재 산업의 최적지인 전주로 이전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ns4656@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