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황두현 기자 = 대검찰청이 올해 하반기부터 전국 검찰청에서 가장 뛰어난 부서를 '최우수 부서'로 선정해 포상한다. 그간 형사부나 공판부 등 특정 분야의 우수 검사를 선정한 적은 있었지만, 영역을 막론하고 '대상' 격인 최우수 부서를 뽑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검은 이달부터 '검찰 최우수·우수부서 선정에 관한 규정'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매년 상·하반기 전국 67개 고등검찰청 및 지방검찰청·지청 소속 부서 가운데 1곳의 최우수 부서와 2곳의 우수부서를 선정하는 게 골자다.
대상 부서 선정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도 마련했다.
비교적 사회적 주목도가 낮지만 일반 국민들의 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민생범죄 대응 관련 부서를 발굴하는 취지에서 정량적 요소를 주요 판단 근거로 삼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검 간부 회의를 거쳐 선발된 3곳의 우수부서 가운데 1곳이 최우수의 영예를 가진다. 선정 결과는 검사뿐 아니라 직원들에 대한 복무평정, 근무성적평가 등에 반영된다.
검찰은 매달 일선 지방검찰청의 형사부·공공수사부·공판부·과학수사부 소속 검사들을 상대로 5~10건의 '우수사례'를 선정해 왔다. 주로 보완 수사를 통해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거나 다수 피해자를 구제한 사건 등이 대상이다.
하지만 수사 분야 구분 없이 전국 청을 가운데 '최우수·우수 부서'를 뽑는 것은 최초다. 특히 개별 검사를 선정한 우수사례와 달리 부장검사와 소속 검사와 수사관, 실무관 등 부서 총원을 선정 대상으로 삼아 '팀워크'를 평가한다는 차이도 있다.
이는 지난해 취임한 심우정 검찰총장이 줄곧 강조한 '민생범죄 대응 역량 제고'와 맞닿아 있다. 심 총장은 취임사에서 "검찰은 민생범죄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데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검은 이후 일선 검사들로 구성된 형사부 강화, 디지털 성범죄 전담 조직을 꾸렸다. 전국 최대 검찰청인 서울중앙지검도 반부패부서 등 특수수사 인력을 형사부로 대거 충원했다.
이번 제도 신설이 정치적 외풍 논란으로 상처를 입은 검찰 내부 분위기를 추스르는 계기 될지 주목된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묵묵히 일하는 일선 검사들을 격려해 주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있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