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는 동절기에 빈발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에 주력했다면 기온이 상승하는 4월부터는 세균성 식중독 예방에 주력한다.
연구원은 하절기 발생 가능성이 높은 세균성 식중독(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 등) 예방에 집중해 시민들의 장관염 건강 보호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이 이용하는 수련시설에서 제공되는 조리식품, 배달 전문 음식점 판매 조리식품, 위생 취약 집단급식소 조리식품 등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추진한다.
연구원 관계자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시기와 계절별 발생 특성을 고려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지속적인 감시와 맞춤형 사전 점검을 통해 식중독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분기 동안 발생한 울산 지역의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발생(8건) 대비 37.5% 감소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