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머슨 음낭가그와 짐바브웨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SNS) 엑스(X)에서 "미국과 상호 이익에 기반한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미국산 제품에 부과되던 모든 관세를 유예할 것을 정부에 지시하겠다"며 "이번 조치는 미국산 제품의 짐바브웨 시장 내 확장을 촉진하고, 미국 수출 시장을 향한 짐바브웨 제품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것. 짐바브웨는 모든 국가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적대적 관계는 지양하는 외교 정책을 견지한다"고 강조했다.
음낭가그와 대통령의 선언에 이어 대만·베트남도 미국과 무관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관세 정책의 총 설계자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은 '미국은 단순한 관세 인하가 아닌 제조 시설의 미국 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이 같은 조치가) 불충분하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5일 시행된 10%의 기본관세에 이어 8일 총 57개국 대상 개별 상호관세를 부과했으나, 채 하루가 안 되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했다. 짐바브웨에는 18%의 상호관세를 예고했다.
음낭가그와 대통령의 발언은 유예 조치 이전에 나온 것으로, 실제 짐바브웨의 대미 관세가 모두 철폐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