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최태원 회장 "AI 인프라 절실…메가 샌드박스 만들자"

뉴시스

입력 2025.04.13 12:01

수정 2025.04.13 12:01

다큐 통해 상의 메가 샌드박스 구상 직접 설명 "혁신을 통해 새로운 모델로 변해야" 광역 단위 모빌리티 특화구역이 대표 사례
[서울=뉴시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최근 방영된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 다큐멘터리의 좌담회에 출연한 모습.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제공) 2025.4.1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최근 방영된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 다큐멘터리의 좌담회에 출연한 모습.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제공) 2025.4.1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류인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상의) 회장은 최근 한 다큐멘터리에 출연해 불필요한 규제 완화와 제조 인공지능(AI)을 위한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다.

상의는 메가 샌드박스 아이디어를 쉽게 알리기 위해 지난 12일 KBS 다큐멘터리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 제작을 지원했다고 13일 밝혔다.

최 회장은 이 다큐에서 ▲인재 육성·유치 ▲인프라(AI 산업 기반 조성) ▲파격적인 규제 완화 ▲인센티브 지원을 제시했다.

이를 종합한 것이 상의의 메가 샌드박스다.

메가 샌드박스는 광역 시·도별로 미래산업·기술을 선정하고 국내·외 기업의 인재 유치를 위한 파격적 인센티브와 규제 개선을 종합한 개념이다.



예컨데, 광역 단위의 모빌리티 특화 지역을 선정해 무인운전·배달·순찰 등 자율주행 관련 모든 규제를 풀어주고, 시설 인프라와 정주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대학 교육이 취업까지 연계되는 교육-일자리 매칭이 필요하다"며 "지역의 대학을 택하면 졸업 후 원하는 일자리까지 보장해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프라에 대해 "대한민국에 AI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진 지역이 한 곳이라도 있어야 한다"며 "그래야 이 인프라를 바탕으로 어떤 산업에서도 AI 전환을 이끌 수 있다는 걸 보여줄 수 있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규제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꾸고, 지역 스스로 글로벌 기업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최 회장의 구상이다.

이는 교육, 인력, 금융, 법률의 변화를 통해 기업이 혁신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자는 제안이기도 하다.

최 회장은 지난해 12월 전국상의 회장단 회의에서도 '메가 샌드박스' 개념을 공유한 바 있다.
당시 최 회장은 산업 생태계의 총체적 개혁을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다큐는 토요타 아키오 회장이 최근 직접 제시한 '우븐시티'를 비롯해 해외 사례도 소개했다.
2000명이 거주할 수 있는 규모로 건설 중인 우븐시티에서 도요타는 자율주행, AI를 포함한 각종 첨단기술을 실험하고 개발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ryu@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