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구간송미술관, 윤복진 관련 자료 14건 수리·복원 완료

김장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14 14:32

수정 2025.04.14 14:32

지역공헌 수리복원 협력 및 지원 사업 일환
과학적 분석 통한 습식클리닝, 결손부 메움, 보강 등
대구간송미술관이 대구시 문화유산과 소장 '아동문학가 윤복진 관련 자료' 14건에 대한 수리·복원을 끝마쳤다. 대구간송미술관 제공
대구간송미술관이 대구시 문화유산과 소장 '아동문학가 윤복진 관련 자료' 14건에 대한 수리·복원을 끝마쳤다. 대구간송미술관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구=김장욱 기자】 대구간송미술관이 '지역공헌 수리·복원 협력 및 지원 사업' 일환으로 지난해 10월부터 진행된 대구시 문화유산과 소장 '아동문학가 윤복진 관련 자료' 14건에 대한 수리·복원을 끝마쳤다.

이번 수리·복원 대상이 된 자료들은 지난 2022년 윤복진 선생의 유족이 대구시에 기증한 기록물 중 자료의 가치와 보존 상태에 따른 수리·복원의 시급도 등을 고려한 동요곡집, 윤복진 유품 등 총 14점 14건이다.

특히 가요곡집 '물새발자옥', '동요유희집'의 경우 일제강점기 동요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우리말과 얼을 이어가기 위한 '동요운동'의 자료이자 어린이를 교육하는 교사들을 위한 교재로 활용되어 우리나라 동요사를 재조명하는 자료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 대구종로초등학교의 전신인 '희원학교의 진급증서 및 졸업증서', '계성학교 졸업앨범' 등은 아동문학가와 작사가로 성장하는 윤복진의 성장 과정과 함께 당시 근대 대구의 학교 설립과 운영, 학제 등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대구간송미술관 전인건 관장은 "이번 윤복진 관련 자료 수리·복원을 통해 지역의 문화유산과 숨은 이야기를 발굴해 시민들에게 전달 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면서 "앞으로도 대구간송미술관은 간송미술관이 축적한 다양한 지류문화유산에 대한 수리·복원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 영남권 지류문화유산 수리복원 허브를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대구간송미술관은 지난해 10월 인계된 자료 14건에 대한 수리·복원 진행을 위해 사전 조사·분석 진행과 자료별 적합한 처리계획을 세움으로써 유물의 상태와 보존에 가장 적합한 수리를 진행할 수 있었다.

낱장 문서들은 오랜 기간 둘둘 말린 상태로 보관, 전체적으로 변색과 산화, 꺾임과 찢김, 말림 현상이 두드러졌으며, 표면에 벌레 분비물과 오염이 산재했다.

이번 수리·복원 과정을 통해 새로운 정보가 드러나기도 했다.
특히 박태준 작곡, 윤복진 작사 가요곡집 '물새발자옥' 앞표지 안쪽에 부착대 있던 가요곡집 광고지를 분리해 뒷면의 광고도 되살렸다.

이러한 수리·복원 과정들은 대구간송미술관 '보이는 수리복원실'을 통해 관람객에게 공개됐으며, 전쟁과 분단 속에서 보존된 자료와 수리·복원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관람객과 소통하는 기회가 됐다.


한편 대구간송미술관은 5월 중 대구시민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사연과 추억이 담긴 지류 소장품에 대한 수리복원을 지원하는 공모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