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선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베트남, 수요일(16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의 협상이 있다"면서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이후 베선트 장관이 새로운 무역협정의 최우선 목표로 한국을 비롯해 일본, 인도, 영국, 호주를 우선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이들 5개국에 해당 국가들이 최우선 협상 목표라는 점을 전달하면서 각국 관계자들과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최근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고 언급한 데 대한 견해를 묻는 말에 "다시 말하지만, 저는 동맹국들이 선점자 이점을 누릴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협상을 성사시키는 사람이 가장 좋은 조건을 얻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에 있어 5일부터 10%의 기본관세만 유지하고 국가별로 차등한 관세는 9일 발효한 지 하루도 안 돼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90일간 전격 유예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90일간의 협상 기간이 생긴 것이라며, 70여개 국가에서 협상을 제안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90일이 지나기 전에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가 몇 개냐는 질문에 베선트는 "많은 국가가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 "실제 문서(협정)로 이뤄지는 게 아닐 수 있지만 원칙적인 합의가 이뤄지고 그로부터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는 수개월 안에 수십 개 국가와 동시에 전통적인 형태의 무역협정을 체결하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관측을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WSJ은 전통적인 자유무역협정(FTA)이 아니라 무역장벽 완화를 약속하는 식의 간소화된 서면 합의를 한 뒤 나중에 필요할 경우 세부 무역협정을 체결하는 방식을 예상했다.
베선트는 "시청자들이 알아야 할 중요한 점은 저희가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그 프로세스를 실행할 것이라는 점"이라면서 "질서 있게 진행될 것이고, 가장 중요한 교역국과의 협상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본관세까지 모두 면제받아 관세율이 제로(0)가 될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는 "협상을 시작할 것이고,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최선의 방안'(A game)을 가져오라고 말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베선트는 아울러 이날 중국의 과잉생산 제품이 미국의 높은 관세로 대체 시장을 찾는 '풍선효과'를 언급하며, 유럽, 캐나다, G7 국가 및 남반구 국가로 흘러들어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 125%에 대해 "이 숫자는 큰 것이며, 농담과는 거리가 멀다"라고 말했다.
워싱턴DC와 베이징 간의 대화 단절 가능성에 대해서는 "꼭 그런 것은 아니며 언젠가는 '빅딜'(big deal)이 일어날 수 있다"라고 했다.
베센트 장관은 일반적으로 80년대 주요 무역 협정이나 통화 협정, 플라자 협정, 루바 협정, 레이건 자동차 협정을 돌아보면, 상대방은 주요 경제 경쟁자였고, 군사 동맹국이기도 했다며 "중국은 우리의 가장 큰 경제 경쟁자이자 군사적 라이벌이기 때문에 특별한 종류의 공식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국채 시장의 불안을 키우는 게 의도적인 투매에 따른 것인지를 묻는 말에는 "투기성 매각은 없다고 생각하며, 금요일(11일)과 오늘 확인한 바에 따르면 실제로 외국인 소유 비중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미국의 국채 금리가 오르고, 가격이 급락한 데에는 중국의 의도적 투매가 배경에 있다는 설이 최근 제기돼 왔다.
앞서 베선트 장관은 미국이 동맹국들과 관세 협상을 타결한 뒤 중국에 공동으로 대응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지난 9일 워싱턴DC의 미국은행연합회(ABA) 행사에서 "우리는 아마 동맹들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런 뒤 우리는 단체로 중국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