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스위스 대형 투자은행 UBS는 15일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예상을 3.4%로 하향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부련망(富聯網)과 중국시보, 재신쾌보(財訊快報) 등에 따르면 UBS는 이날 중국 경제에 관한 리포트를 통해 미중 간 고관세가 유지되고 중국이 추가 경기부양책을 실시하는 걸 전제로 해서 2025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4.0%에서 0.6% 포인트 낮췄다.
리포트에서 UBS는 그래도 중국 내 투자와 소비가 계속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정책 자극 효과도 갈수록 약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UBS는 내년 중국 성장률 예상치 경우 더욱 감속한 3.0%를 조정하지 않고 그대로 뒀다.
리포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145%에 달하는 고율 관세 발동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이 앞으로 수분기 사이에 종전 3분의 1 정도로 급감한다고 내다봤다.
중국의 보복관세가 일부 수입품 가격을 올릴 수 있지만 미국의 고관세가 중국의 외부 수요를 대폭 감소시키고 중국 국내가격에 하방 압력을 확대한다고 리포트는 평가했다.
또한 리포트는 미국과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해 금년 중국 전체 수출이 달러 기준으로 10% 줄어든다고 전망했다.
리포트는 "중국의 다른 무역상대국 일부도 향후 수개월 사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며 "다만 특정 제품에 한할 공산이 농후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폭탄 같은 전면적인 규모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리포트는 미중 간 관세 공방전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는 건 극히 어렵다면서 "그렇지만 양국이 대화와 협상을 통해 앞으로 1~2개월 내 추가관세 일부를 철회할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기대했다.
리창(李强) 중국 총리는 3월 초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3차 전체회의에서 2025년 경제성장 목표를 5% 안팎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선 중국 고위 당국자들이 최근 앞다퉈 목표를 달성하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 대단히 비상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걱정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