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선그어도 커지는 ‘한덕수 대망론’… 관세 대응이 변곡점[6·3 대선 D-48]

김윤호 기자,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15 18:17

수정 2025.04.15 18:17

韓대행 국힘 경선후보 등록 안해
여야, 여전히 제3 지대 출마 경계
韓, 트럼프정부 협상에 대선 활용
긍정적 결과 도출땐 여론 큰 변화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국회 통과 조기대선 정국에서 '한덕수 대망론'이 돌발변수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15일 국회 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명한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이 통과됐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일방적인 결의안 추진에 반발해 퇴장했다. 연합뉴스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국회 통과 조기대선 정국에서 '한덕수 대망론'이 돌발변수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15일 국회 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명한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이 통과됐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일방적인 결의안 추진에 반발해 퇴장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경선이 본격 진행모드에 돌입하면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작은 사진) 차출론에 대한 내부 목소리는 당분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전망이다.

그러나 반(反)이재명 빅텐트론이 꾸준히 정치권에 거론되면서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활동하는 한덕수 권한대행에 대한 주목도는 한 권한대행 본인 의지와 관계없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주미대사·통상교섭본부장·경제부총리를 지낸 정통 경제관료 출신인 한 권한대행이 쌓은 실무능력은 트럼프발 관세 쓰나미 등에 대응할 대권주자로 꼽히고 있어 여권 내부는 물론 제3지대 또한 여전히 한덕수 카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덕수 경선 불참에도 野 견제 격화

한 권한대행은 자신을 향한 대망론에도 15일 국민의힘 경선후보로 등록하지 않았다. 하지만 한 대행이 제3지대 대선주자로 출마했을 경우 파장을 경계해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국민의힘에서도 여전히 견제구를 던지고 있다.



민주당은 한 권한대행을 겨냥해 16일 탄핵소추 여부도 결정할 계획이며, 국회의 모든 권능을 동원해 한덕수 견제에 나섰다. 여야 모두 한 대행 출마 여부에 주목하는 이유는 대선 본선에서의 파장 때문이다. 여야 경선에 불참키로 한 이낙연 전 총리와 김두관 전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과 함께 제3지대를 꾸리면 이재명 전 대표로 쏠린 판도에 변수가 생길 수 있어서다. 한덕수 카드는 현 탄핵정국 이후 기존 여당 경선후보들로는 이재명 대세론을 넘을 수 없는 한계에 대한 공감대가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이재명 단일대오를 엮으려면 기존 집권여당인 국민의힘 의원들과 당원·지지층의 거부감이 덜하고, 조기대선이란 특수성에 맞는 후보가 필요한데 한 권한대행이 이 같은 요건을 충족한다는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정치적 색채를 떠나 기존 국정 기조를 이어가면서 안정적 국정운영으로 '업그레이드'를 이끌면서 정권교체에 따른 '리셋'으로 야기될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인물로 한 권한대행이 꼽히고 있다는 관측이다. 다만 국민의힘 경선주자들의 거부감과 정치인으로서 거대야당의 입법폭주를 상대하기가 다소 버거울 수 있다는 우려도 상존한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국민의힘 대선경선이 마무리되는 5월 초와 민주당 대선경선이 끝나는 4월 말 사이 한덕수 대망론의 윤곽은 가시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정부와 협상 추이 ‘주요변수’

정치권의 한덕수 대망론을 놓고 관가에선 다르게 보고 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와 방위비 분담금 압박에 효과적으로 대응키 위해 차기대권설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은 한 대행이 출마를 결심할지 여부를 떠나 현재는 트럼프 정부와의 협상에 자신의 차기대권 가능성을 주요 카드로 활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 정부와의 협상 당사자인 외교·통상당국에선 상대국 정상의 잔여임기나 국내 정치적 입지가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대표적인 예로 꼽은 게 미국과 캐나다이다. 트럼프 당선 이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임기 말에 접어든 후에는 한미 간 협의도 유보적 분위기로 바뀌었다.


실제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협상 과정에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할 경우 미국통 정통관료 출신인 한 권한대행의 국정운영이 증명된다는 점에서 여론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현시점에서 한 권한대행은 조기대선 출마에 대한 입장을 밝힐 필요가 전혀 없다.
안정적인 국정운영에 매진만 하면 되는 상황"이라면서 "그동안 닦아놓은 한미동맹 기조 속에 관세대응 과정에서 모종의 성과를 거둔다면 한 권한대행 스스로 본인을 증명해낸 것이나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