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필수 추경안 편성
산불 피해복구 재해대책비 2배로
'통상 대응' 첨단산업 지원 강화
반도체에만 5천억 추가 반영
산불 피해복구 재해대책비 2배로
'통상 대응' 첨단산업 지원 강화
반도체에만 5천억 추가 반영
![추경 2조 늘려 12조… 재난 3조·AI 4조·민생 4조 투입[추경 12조로 증액]](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15/202504151830553062_l.jpg)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번 추경은 타이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이번 추경을 △재해·재난 대응(3조원 이상) △통상·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4조원 이상) △소상공인·취약계층 민생 지원(4조원 이상) 등 세 축으로 구성했다.
정부는 강원·경북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기존 약 5000억원이던 재해대책비를 2배 이상 늘릴 계획이다. 임시 주거용 임대주택 1000호와 주택 복구용 저리 자금도 함께 지원된다. 산불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산림헬기(6대), AI 감시카메라(30대), 드론(45대), 다목적 산불진화차(48대) 등 첨단장비 도입에 2조원이 투입된다.
예비타당성 조사 절차를 간소화하고, 재정사업평가위원회도 매달 개최한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첨단 산업 지원에 4조원 이상이 배정됐다.
정부는 관세 피해 및 수출 위기 기업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정책자금 25조원을 신규 공급하고, 수출바우처 대상 기업도 2배 이상 확대한다. 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 관련 인프라·금융·연구개발(R&D)에도 2조원 이상 재정지원을 강화한다. AI 분야에는 추경을 통해 1조8000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최 부총리는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3000장을 즉시 공급하고, 연내 1만장을 추가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의 70%를 국비로 지원하며, 첨단 소재·부품·장비를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투자 보조금도 700억원 규모로 반영했다.
민생 부문에서는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위한 직접 지원책이 포함됐다. 연 50만원 한도의 '부담경감 크레딧' 제도가 신설되고, 전년 대비 카드 소비 증가분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상생 페이백'도 도입된다.
최 부총리는 "이번 추경은 타이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추경안이 빠른 시간 내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의 초당적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