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토스뱅크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은행 되겠다"

박문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16 11:00

수정 2025.04.16 11:03

월간 이용자수는 '880만명'
이은미 대표 "은행업계 3위 정도"
"고객중심 최적화"..금융주권 넘겨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토스뱅크 미디어데이에서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가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토스뱅크 제공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토스뱅크 미디어데이에서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가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토스뱅크 제공

[파이낸셜뉴스] #. "토스뱅크는 이미 혁신의 아이콘이다. 1년 전 토스뱅크에 합류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목표는 혁신에 하나의 수식어를 붙이는 것이었다. 바로 '지속가능한 혁신'이다."
1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열린 토스뱅크 미디어데이에서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가 "신뢰가 형성이 돼야 고객이 어떤 혁신 서비스든 편하게 받아드릴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토스뱅크는 인터넷전문은행 중 유일하게 정보보호 공시를 하고 있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도 받았다"면서 "금융주권을 고객에게 돌린다는 토스뱅크의 철학이 담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토스뱅크가 미래로의 도약 준비를 마쳤다며, 금융 산업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선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토스뱅크는 향후 3~5년의 주요 전략을 발표했다. 핵심은 고객 중심의 최적화를 실현하고, 기술 내재화를 넘어선 표준화와 글로벌 진출을 이뤄내겠다는 것이다.

지난 2021년 10월 대한민국의 스무번째 은행으로 문을 연 토스뱅크는 지난해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토스뱅크는 지난 3년간 다양한 혁신 상품을 통해 금융의 주권을 은행에서 고객으로 넘겨줘 왔다.

토스뱅크는 은행이 정한 규칙을 고객이 따르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고객 관점에서 새롭게 설계했다. 특히, 어떻게(HOW)에 집중하며, 은행마다 똑같은 상품과 서비스를 토스뱅크만의 다른 문법으로 풀어낼 것인가를 고민하고 차별화 했다.

이은미 대표는 '지금 이자받기' 서비스를 소개하며 간담회를 시작했다. 이 대표는 "매일 아침 토스뱅크 앱을 열어 이자를 받는다"면서 "제 주위에서 3명 중 2명이 이자를 받기 위해 매일 아침 토스뱅크 앱을 열고 있다"고 말했다. 토스뱅크의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는 880만명에 달한다.

토스뱅크는 이를 고객에게 ‘금융 주권’을 되돌린 사례로 꼽았다. 이제 고객은 한 달에 한 번 은행이 정한 날짜를 더는 기다리지 않아도 됐다는 것이다. 매일 이자받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토스뱅크 고객은 700만명에 달한다. 현재 은행, 증권사, 저축은행 등 10여 곳의 금융기관이 유사한 서비스를 도입했다.

토스뱅크는 이같은 관점은 ‘전월세보증금 대출’이나 ‘함께대출’ 등에도 녹아들었다고 밝혔다. 모든 은행이 판매 중인 전월세대출은 토스뱅크에서는 보증서, 등기변동알림 서비스와 유일하게 결합했다. 실질적인 주거 안전망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신용대출도 모든 금융사에 있지만 토스뱅크에서는 ‘지방은행’, 그리고 ‘상생’과 결합하며 최초의 혁신 서비스로 이어졌다.

토스뱅크는 '최초의 혁신 사례만 40여가지가 넘는다'고 강조했다. 토스뱅크는 이같은 혁신이 고객의 장애는 물론 연령, 국적, 자산 규모와 관계없이 누구에게도 선 긋지 않고 고르게 닿았다고 설명했다.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확장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토스뱅크는 457억 원의 첫 연간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고객 수는 1200만명을 넘었다. 포브스는 세계 최고의 은행, 한국 부문 1위에 3년 연속 토스뱅크를 꼽았다. 미래를 위한 준비를 마친 토스뱅크는, 고객 신뢰와 투명성, 안정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다.

특히 중장년 및 시니어 고객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영시니어, 액티브시니어 등이 타깃이다. 현재 40대 이상이 토스뱅크 고객의 2명 중 1명(48%)에 가까운 만큼, 금융 외에도 헬스케어, 자산관리 등과 연계된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것이다.

외화통장은 한층 강력해진다. 기존 무료환전 기능으로 호응을 얻었던 외화통장에는 송금 기능이 추가 된다. 해외에 거주 중인 지인 또는 가족이나, 유학 중인 자녀에게 보내는 돈에도 자유가 더해진다. 개인과 개인사업자를 넘어 기업 고객을 위한 보증 기반 대출을 선보이며 여신 포트폴리오의 균형을 확보하고 보증 기반 구조를 통해 리스크 관리까지 강화할 방침이다.

기술 내재화는 가속화를 넘어 표준화 된다. 토스뱅크는 개발자 중심의 조직을 구성, 운영하며 기술 내재화를 추구해 오고 있다. 신용평가 모형인 TSS(Toss Scoring System)를 한층 고도화 해 나갈 계획이다. 여기에는 AI 기반 리스크 예측 모델이 더해질 방침이다. 수신잔고나 연체율, 문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신분증 위변조 탐지 기술 또한 강화된다. 토스뱅크는 0.5초 만에 99.5%이상의 정확도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사업화 대상으로 기획 중이다.

토스뱅크는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과 더불어 선진국 시장도 대상으로 보고 있다. 현지 규제 환경과 고객 특성을 분석해 해외에서도 의미 있는 금융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는 포부다.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는 “지금까지는 ‘최초’라는 수식어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고객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은행이 되는 것이 토스뱅크의 새로운 지향점”이라며 “최적화, 기술 내재화, 글로벌 확장을 통해 미래형 은행으로 나아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