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소관 올해 청년 일자리 사업 예산 2조 4천564억원
기재차관 "美관세로 수출산업 고용부진 우려…만반의 준비"(종합)노동부 소관 올해 청년 일자리 사업 예산 2조 4천564억원

(세종·서울=연합뉴스) 민경락 김은경 기자 =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16일 "제조업 등 수출산업을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심화할 우려가 커진 만큼 가용한 정책 수단을 적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에서 "미국의 상호관세·품목관세 부과와 중국의 대응 조치로 통상 환경이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청년·직접일자리 사업 추진 상황, 기업 고용 애로 해소 핫라인 1분기 추진 성과 등이 논의됐다.
1분기 중앙 부처 직접 일자리 사업 채용 실적은 110만8천명으로 1분기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김 차관은 최근 청년 고용 상황과 관련해서 "제조·건설 등 주력산업 고용이 둔화하는 가운데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첫발을 내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관련 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당부했다.
정부는 다음 달 정례회의를 열고 경제 6단체와 추가 제도개선 과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는 이번 회의에서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 등 '재학·구직·재직' 취업단계별 6대 청년일자리 사업을 선정해 집중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4∼5월 온·오프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청년의 참여율을 높이면서 미취업 청년, 고립·은둔 청년 등 고용취약청년을 찾아 지원하고자 관계부처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고용센터와도 긴밀히 협업할 예정이다.
특히 경력을 쌓고 싶은 청년이 업무를 경험해볼 수 있는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에는 네이버·카카오·현대차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기업들이 신규로 참여한다.
노동부 소관 올해 청년 일자리 사업 예산은 2조 4천564억원이다. 6대 청년일자리 사업을 통해 약 63만3천명의 청년이 혜택을 볼 것으로 노동부는 기대했다.
rock@yna.co.kr, bookmani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