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2025년 음악사업 청사진 공개

[파이낸셜뉴스] 음악채널 엠넷과 마마어워즈 그리고 케이콘...K팝의 글로벌 성장에 기여하고 독보적 음악 IP를 창출한 CJ ENM이 엠넷 30주년을 맞아 글로벌 음악 산업 청사진을 발표했다.
CJ ENM의 신형관 음악콘텐츠사업본부장과 엠넷플러스 김지원 사업부장은 15일 서울 강남구 더클래스청담에서 '엠넥스트 : 월즈 오브 엠넷 신스 2025'(Mnext : Worlds of Mnet Since 2025)를 열고 글로벌 음악사업 청사진을 발표했다.
엠넷 30주년, CJ ENM 음악사업 청사진 발표
CJ ENM은 'K팝 제너레이션'이라는 큰 모토를 갖고 지난 30년간 성장한 각지의 K팝 팬덤과 함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간다는 포부다. 이를 위해 △글로벌 멀티 레이블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글로벌 플랫폼을 음악사업의 3대 핵심 축으로 삼고,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구체적으로 △연내 글로벌 레이블 신설, △글로벌 타깃 콘텐츠 확장, △엠넷플러스 신규 서비스 론칭 등을 통해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입지를 넓힐 계획이다.
신형관 본부장은 "CJ ENM의 음악사업 비전은 지난 30년간 변함이 없다"며 "음악적 경험을 확대시킬 수 있는 뮤직 유니버스를 지향했다. 달라진 점이라면 그동안 함께 성장한 케이팝 제너레이션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글로벌에 있다는 점이다. 그들과 함께 음악으로 하나되는 즐거운 세상을 만드는 게, 우리 음악산업의 비전"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CJ ENM이 일본에서 현지화한 라포네 엔터테인먼트 소속 아이돌 멤버들을 보면 드라마 ‘겨울연가’와 동방신기를 좋아한 부모 덕에 어릴 적부터 한국문화에 친숙한 환경에서 자랐더라”며 “K팝이 일본과 글로벌 시장에서 성

장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감회가 남다르다”고 소회도 밝혔다.
먼저 '글로벌 멀티 레이블'과 관련해 CJ ENM은 웨이크원, 일본 라포네 엔터테인먼트에 이어 국내외 아티스트와 팬을 연결하는 새로운 글로벌 레이블을 설립한다.
신형관 본부장은 “일본에 K팝 육성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연내 세계적 기업과 함께 새로운 글로벌 아티스트 레이블을 론칭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측면에서는 글로벌 아티스트들과 협업 가능한 대형 프로젝트 제작을 확대한다. 글로벌 댄스 크루들의 국가 대항전으로 펼쳐질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한국과 중화권을 타깃으로 동시 제작·방송·데뷔하는 최초의 프로젝트 ‘보이즈 2 플래닛’, 글로벌 OTT 애플TV+와 함께하는 8부작 경연 시리즈 ‘케이팝드(가제)’, 그리고 글로벌 서바이벌 '장르' 확장을 위한 ‘밴드 프로젝트(가제)’를 선보인다.
새로운 라인업도 최초 공개했다. ‘언프리티 랩스타’와 ‘스트릿 우먼 파이터’ 제작진이 손잡고 선보일 새로운 한일 합작 힙합 프로젝트가 그것이다. ‘언프리티 랩스타: 힙팝 프린세스’는 하반기 방영을 목표로 준비 중에 있다.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 엠넷플러스 고도화
김지원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은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 ‘엠넷플러스’를 통해 팬 소통과 커뮤니티 중심의 팬 경험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엠넷플러스는 론칭 3년 만에 2700만 가입자, 월간활성이용자(MAU) 700만명을 돌파했으며, 누적 투표수 3억2000만건에 육박하는 기록을 세우는 등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아이돌 공포 예능 ‘숨바꼭질’ 등 오리지널 콘텐츠를 비롯해, 엠넷 프로그램, 콘서트, 케이콘, 마마어워즈의 스트리밍 및 VOD 서비스, 다양한 K팝 연계 콘텐츠를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투표·실시간 토크 등 팬과 상호작용하는 콘텐츠를 확대하고, ‘플러스 챗(Plus Chat)’을 통해 팬클럽 운영, 팬 전용 아티스트 포스팅, 1:1 채팅 등의 소통 기능도 제공한다. 4월에는 ‘엠넷플러스 머치(Mnet Plus Merch)’ 베타 서비스를 통해 CJ ENM의 IP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커머스를 연결하고, 리미티드 에디션 상품 등 차별화된 큐레이션으로 팬덤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한다.
김지원 사업부장은 "(엠넷플러스가) K팝을 접하는 첫 번째 관문이자 필수 앱으로 자리 잡게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또 하이브 등 기존 K팝 기획사가 운영하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과 차별성에 대해서는 "단지 K팝 스타뿐만 아니라 K컬처와 글로벌 팬이 만나는 공간"이라며 "댄서, 밴드, 뮤지컬 스타, 드라마 배우 등 다양한 장르로 그 대상을 확대할 것"이라고 비교했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