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종합=뉴스1) 이시명 김기현 이종재 김용빈 이찬선 이성덕 조민주 장광일 신준수 박지현 홍수영 기자 = 최근 전국 곳곳에서 땅 꺼짐(싱크홀) 현상으로 피해가 속출하자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사전 탐지 장비 등이 크게 부족해 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6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전날 오전 8시쯤 서울 중랑구 신내동 중랑구청에서 약 300m 떨어진 곳에서 지름 약 40㎝, 깊이 1m가량의 싱크홀이 발견됐다.
같은 날 오후 8시쯤에는 인천 부평역 일대 횡단보도 앞에서 가로 5m, 깊이 10㎝ 규모의 싱크홀이 나타났다.
다행히 전날 발견된 싱크홀로 빚어진 인명피해는 없었다.
다만 지난달 24일 오후 6시 29분쯤 강동구 명일동에서 직경 20m 크기의 싱크홀 사고가 발생해 배달 노동자 박 모 씨(33·남)가 사망하고, 허 모 씨(48·여)가 경상을 입었다.
지난해 8월 29일에는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도로에서 너비 4m·길이 6m·깊이 2.5m 규모의 싱크홀이 발생해 2명이 중상을 입었다.
또 바로 다음 달인 지난해 9월 부산 사상구 도로 한복판에서도 가로 10m, 세로 5m, 깊이 8m가량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부산소방본부 차량과 5톤짜리 화물차가 땅 밑으로 전복됐다.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따르면 지반 침하 발생 현황 통계 자료가 업로드된 2018년부터 2025년 3월 기준 발생한 지반 침하 사고 건수는 1345건이다.
경기도가 291건으로 가장 많고 광주 155건, 부산 133건, 서울 115건 등 순이다.
싱크홀은 주로 도심지 도로 위주로 발생해 차량 통행과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만큼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얼음이 녹는 해빙기와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우기에 싱크홀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만큼 계절별 특별 점검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다만 현재 보유된 GPR(지표투과레이더) 장비는 올해 3월 기준 총 10대다. 이마저도 탐사 깊이가 2m 내외에 그쳐 깊은 지하에서 발생하는 싱크홀을 포착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서울시는 지반침하 예방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부산시와 제주도는 GPR 차량을 확충하는 등 탐지 장비를 도입하고 있다. 울산시의 경우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GPR 탐사와 천공 내시경을 통한 정밀 점검을 진행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제2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2025~2029)을 새로 수립하며 향후 5년간의 지하안전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올해부터는 기존 5년에 한 번 시행되던 GPR 공동 조사 빈도를 연 2회로 대폭 상향한다. 여기에 국토안전관리원의 지자체 지원 공동 조사 규모도 확대해 5년간 총 2만㎞에 달하는 구간을 조사할 계획이다.
다만 제도 개선과 인력 확충과 예산 증액이 시급하다는 전문가의 지적이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사전 진단을 미래에 대한 '투자'가 아닌 '낭비'로 보는 인식 때문에 예산편성에서 항상 뒷순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예산을 투입해 전문 인력의 규모를 키우고, 공동 조사 횟수도 늘려 문제를 차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