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시공사 재재신임 투표
"조합장 등 교체에 과도한 힘실어"
건설사 감시단 추진에 불만 제기
교체땐 사업지연·분담금 등 증가
"대우 노력 인정해야" 유지의견 팽팽
"조합장 등 교체에 과도한 힘실어"
건설사 감시단 추진에 불만 제기
교체땐 사업지연·분담금 등 증가
"대우 노력 인정해야" 유지의견 팽팽

1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남2구역 재개발 조합원들의 단체 채팅방에서는 '대우 유지파'와 '교체파'가 연일 부딪히고 있다. 조합의 한 관계자는 "△△건설사가 의향서를 보여줬다느니, 대우의 진심 어린 계획을 믿고 가야 한다느니 하며 그야말로 전쟁 중"이라고 전했다.
조합은 오는 27일 총회를 열고 '대우건설 시공사 재재신임' 안건을 투표에 올린다. 조합이 대우건설 재신임 절차를 밟는 것은 지난 2023년 9월에 이어 두 번째다. 대우건설이 추진하던 '118프로젝트(고도제한 완화)'와 관통도로 제거가 서울시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시공권 적합성이 도마에 오른 것이다.
일부 조합원들은 조합장과 일부 임원들이 시공사 교체에 과도하게 힘을 싣고 있다며 불만을 표하고 있다. 조합이 '대우건설 홍보감시단'을 추진하는 등 대우건설과 조합원들간의 접촉을 차단하려 한다는 설명이다. 홍경태 조합장은 최근 조합원들에게 총회 결과와 무관하게 신속한 사업을 위해 다음 절차를 밟겠다면서도 "계약 해지시 탑티어 시공사가 참여할 것을 확신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시공사 교체는 득보다 실이 많을 것이라는 반응이다. 한 정비업계 관계자는 "현재 시점에 시공사를 바꾸면 최소 1년 반 사업이 지연될 것"이라며 "공사비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는 물론 소송전으로 배상액을 떠안게 되는 등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시공사 교체시 공사비와 국공유지 매입비 지연배상금, 인허가 용역비 등 총 2698억원의 사업비가 더해져 세대당 추가 분담금이 3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방배5구역 재건축 사업의 경우 지난해 10월 계약 취소 시공사 컨소시엄에게 525억원을 배상하라는 화해권고 처분을 받았다. 또 방화6구역은 기존 시공사와 공사비 문제로 갈등을 겪다가 계약을 해지, 시공사를 교체했지만 매년 자재값 등이 급등해 오히려 1.7배 높은 수준으로 공사비가 책정됐다. 성남은행주공 사례를 봐도 시공사가 바뀐 후 공사비 상승과 공사기간 연장이 동반됐다.
빠른 추진을 원하는 조합원들은 대우가 '공사중단 없는 책임준공'을 약속하고 이주비 대출 등에도 최고 수준의 조건을 내걸고 있다며 이를 믿어보자는 입장이다. 한 조합원은 "고도제한이나 관통도로 문제는 관공서 소관이라 대우만의 노력으로 해결될 사항이 아니다"라며 "대우건설이 매주 수차례 용산구청과 회의하며 설계 변경에 최선의 노력을 해온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했다. 또 "대우가 시공권을 잃으면 국공유지에 가압류를 걸 가능성이 높아, 타 시공사가 쉽게 입찰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총회에서는 지난해 말 관리처분계획 인가 신청을 전후로 조합원 100여명이 바뀐 점이 변수로 꼽힌다. 또 다른 조합원은 "신규 조합원들은 청년층이 많고, 이들은 무조건 빨리 가자는 주의"라며 "지난 총회보다 표 차이가 많이 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라고 전했다. 2023년 재신임 총회에서는 조합원 909명 중 742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찬성 414표, 반대 317표로 대우건설이 재신임을 받았다.
ming@fnnews.com 전민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