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규모는 작지만 수익성은 높은 시장”
엔진과 변속기 등만 수출 지속
지난해 포드 中 판매 40만대로 2016년 130만 대에서 급감

[서울=뉴시스]구자룡 기자 = 미국 포드 자동차는 관세 전쟁의 영향으로 중국으로의 자동차 수출을 중단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번 주에 미시간주에서 생산된 F-150 랩터, 머스탱 머슬카, 브론코 SUV, 그리고 켄터키주에서 생산된 링컨 네비게이터의 출하를 중단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에 대응해 중국은 해당 차량에 대한 관세가 최대 150%까지 높아졌다. F-150 랩터는 중국에서 거의 10만 달러(약 1억 4500만원)에 판매된다.
포드 대변인은 “관세에 따라 중국으로의 수출을 조정했다”고 말하고 구체적인 모델이나 시기는 밝히지 않았다.
WSJ은 포드의 대중국 수출은 규모는 작지만 수익성은 높다고 설명했다.
포드는 약 10년 전부터 자사의 가장 잘 알려진 브랜드 중 일부를 중국에 수출하기 시작했다. 이는 중국 자동차 구매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지난해 포드는 브롱코, F-150, 머스탱, 네비게이터 등 약 5500대를 중국에 수출했다. 이는 지난 10년간 중국으로 수출된 차량의 연평균 수출량인 2만 대를 크게 밑돈다.
포드는 엔진과 변속기도 수출하고 있는데 자동차와 달리 이들 품목 수출은 계속되고 있다. 포드가 중국에서 수입하는 링컨 노틸러스 한 모델 수입도 중단되지 않았다.
포드의 중국 판매는 최근 몇 주 동안 다른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마찬가지로 감소세를 보였다.
포드는 지난해 중국 파트너사와의 합작 생산 차량을 포함해 약 40만 대의 차량을 중국에서 판매했는데 이는 2016년 약 130만 대에서 크게 줄어든 것이다.
포드 부회장 존 롤러는 이번 주 투자자 컨퍼런스에서 지난해 중국 사업에서 발생한 영업이익이 약 9억 달러였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kjdrag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