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美증시 올해 10%대 폭락... 투자자 자금은 5조 늘었다

박지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20 18:37

수정 2025.04.20 18:37

북미 주식형 수익률 -16%
우상향 기대 저가매수세
지난 1주일 6943억 유입
美증시 올해 10%대 폭락... 투자자 자금은 5조 늘었다
미국 증시가 연초 이후 10% 넘게 폭락했지만 투자자 자금은 연초 대비 5조원 넘게 늘었다. 경기 침체 우려와 상호관세 리스크에도 장기적인 미국 증시 우상향에 대한 투자자들이 기대가 굳건한 것으로 보인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7일 기준 북미 주식형 공모펀드(설정액 10억원 이상) 195개의 연초 대비 수익률은 -16.38%다. 한국(+3.79%)을 비롯해 일본(-11.13%), 중국(-4.11%), 인도(-8.9%),유럽(+2.68%) 등 주요국 주식형 펀드보다 뒤쳐졌다. 사실상 글로벌 펀드 중 최하위 성적이다.



연초 이후 가장 손실이 큰 상품은 '삼성KODEX미국클린에너지나스닥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으로 -26.67%에 달한다. 뒤이어 'KB RISE미국AI테크액티브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과 '미래에셋TIGER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증권상자지수투자신탁(주식)'로 각각 -24.3%, -24.1%였다.

북미 펀드 수익률이 고꾸라진 것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경기 침체 우려와 상호관세 불확실성이 더해진 여파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연초 대비 15.53%,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도 이 기간 9.98% 떨어졌다. 항셍(+9.03%), 코스피(+3.52%), 상해종합(+0.43%) 등 주요국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

미국 증시가 올 들어 10% 넘게 폭락했지만 북미 주식 펀드에는 오히려 자금이 몰리고 있다. 연초 이후 북미 주식 펀드에는 총 5조3346억원이 새로 유입됐다. 특히 지난 1주일간 6943억원이 들어왔다. 연초 이후 일본(-150억원), 중국(+1657억원), 인도(-906억원) 등 자금 유입이 미미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최근 미국 증시가 변동세를 보이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증시가 우상향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 저가 매수세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글로벌 투자사에서는 미국 주식 비중을 점차 줄여가고 있어 섣부른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KB증권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 4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에서 미국 주식 비중을 축소했다는 응답 비율이 확대했다는 응답 비율보다 36%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주식 수익 전망을 긍정하는 응답 비율과 축소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 격차 역시 지난 2007년 11월 이후 최저치로 급락했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예외주의의 근간에는 미국 경제가 압도적 기술 우위를 보유하고 있다는 인식 때문이었는데, 최근 설문조사에서 투자자들이 기술에 대한 기대를 낮춘 것이 눈에 띈다"며 "글로벌 투자자들은 최근 미국 기술주 비중을 줄이는 대신 방어 업종 비중을 늘리는 추세"라고 말했다.

미국 증시 변동장세는 장기화될 전망이다. 간밤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조치를 단행하면서 엔비디아는 16일(현지시간) 6.87% 하락 마감했다. 엔비디아의 저사양 인공지능(AI) 칩인 H20 등의 중국 수출길이 막혔기 때문이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높은 관세로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고 밝히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07% 하락했다.

NH투자증권 조연주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한 경기 여파가 불확실한 가운데 5월부터 관세 영향이 경제지표에 나타나면서 뚜렷해질 전망"이라며 "연준의 정책 기조 확인,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간 협상에 시간이 필요해 변동성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