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품질 예측, 공정 최적화 등 제조 영역부터 법무 계약 검토, 환율 예측 등 비제조 영역까지 비즈니스 전방위에 인공지능(AI)기반의 디지털 변혁(DX)을 추진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그동안 전 사업 영역에서 AI에 기반한 디지털 변혁(DX)을 적극 도입해 왔다. 특히, 제조 영역에서는 고객가치를 높이기 위한 품질 향상부터 환경안전 영역에 이르기까지 AI 기술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LG화학은 임직원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AI 분석 솔루션인 CDS(Citizen Data Scientist) 플랫폼을 오픈했다. CDS 플랫폼은 코딩이나 분석 관련 전문 역량이 없는 임직원도 자신이 보유한 업무 지식과 데이터를 활용해 인사이트를 발굴할 수 있게 해준다.
LG화학은 계약서를 자동으로 검토하고 수정하는 AI 계약검토 솔루션을 도입했다. AI가 표준양식과 문구, 사내 중요 원칙 등을 기반으로 계약서를 검토하고, 대안 문구까지 제시해 단일 계약에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30%까지 단축할 수 있다. 또, LG화학 전남 여수공장이 석유화학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을 이용해 비즈니스를 혁신하는 디지털 변혁(DX)을 산업 현장에 적극 활용해 작업 효율성 증대 및 산업 재해 감소에 앞장서고 있다.
LG화학 테네시 공장은 세계 최고 품질의 양극재 생산을 위해 AI·DX 등 최첨단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활용한다.
LG화학은 현재 청주 양극재 공장을 마더팩토리(Mother Factory)로 양극재 품질 개선을 위한 수많은 데이터와 다양한 예측 모델들을 분석하고 있으며, 향후 이를 테네시 양극재 공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