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2년 전보다 낮아진 韓 금융이해력...‘금융 문맹’은 20대·70대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29 06:00

수정 2025.04.29 06:00

한은-금감원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20대·70대, 저소득, 고졸 미만 취약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제공.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 금융이해력 점수가 평균 65.7점으로 2년 전보다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대와 70대의 금융이해력이 취약한 가운데 저소득층, 고졸미만 학력도 평균 이하로 계층 양극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전국민 금융이해력(financial literacy)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 금융이해력은 65.7점으로 2022년 조사(66.5점)와 비교해 소폭 하락했다. 이는 만 18~79세 성인 2400명에게 합리적이고 건전한 금융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 금융행동, 금융태도 등 금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면접 설문조사한 결과다.

연령별로는 20대와 70대의 금융이해력이 낮았다.

우선 20대는 62.6점으로 2022년에 비해 3.2점 낮았고 70대도 59.3점으로 2년 전보다 1.8점 낮아졌다. 반면 노후준비와 자산운용에 관심이 많은 50, 60대의 경우 각각 0.9점, 0.3점 오른 67.9점, 64.7점으로 나타났다.

소득계층별로 보면 고소득층이 점수가 가장 높았다. 고소득층 금융이해력 점수가 68.8점, 중소득층은 66.8점, 저소득층은 59.7점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대졸이상이 68.0점으로 가장 높았고 고졸미만은 59.0점으로 2년 전에 비해 0.3점 하락했다. 고졸의 금융이해력은 0.9점 떨어진 64.5점을 기록했다.

연령별, 소득계층 및 학력별 양극화가 여전한 가운데 디지털 금융이해력은 계층간 격차가 축소됐다. 2024년도 우리나라 성인의 디지털 금융이해력 점수는 45.5점으로 2022년 조사(42.9점) 대비 2.6점 상승했다. 특히 70대 노령층, 저소득층, 저학력층의 점수가 2022년에 비해 큰 폭 상승했다.

한국은행과 금감원은 "향후 취약 부문에 대해 맞춤형콘텐츠를 확충하고 교육역량을 집중하는 등 금융·경제교육의 실효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