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28일 블록딜 형태로 한화오션 지분 일부 매각 위한 수요예측 돌입

[파이낸셜뉴스] 한국산업은행이 보유 중인 한화오션 지분(5973만8211주·19.5%) 일부 매각에 나선다. 2000년 산업은행이 출자전환을 통해 대우중공업(한화오션 전신) 지분을 확보한 지 25년 만이다.
28일 금융권과 산은에 따르면 산은은 이날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형태로 한화오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수요예측에 들어갔다. 산업은행은 이번 수요예측을 바탕으로 보유 중인 한화오션 지분 일부를 복수의 수요처에 매각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 관계자는 "현재 보유중인 한화오션 지분을 일부 매각하기 위해 수요예측에 들어갔다"며 "전량 매각은 아니며 잔여 지분 처리 방안은 향후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이 지분 매각에 나서는 것은 K조선업 호황에 따른 주가 상승으로 공적자금 회수의 적기라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화오션 주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직전인 지난해 11월 6일 주당 2만7800원에서 28일 종가 기준 주당 8만9300원으로 3.2배 높아졌다.
산은 자체적으로 자산 건전성을 높여야 하는 필요성도 지분 매각 추진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3.9%로 국내 20개 은행 중 가장 낮다. 현재 당국에서는 BIS 자기자본비율을 13% 이상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산은이 보유중인 HMM 주가가 1000원 오르면 BIS 비율은 9bp(0.01%포인트)가량 떨어진다. 강석훈 산은 회장은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HMM 주가가 지금보다 5000~6000원 올라간다고 가정하면 산은의 BIS 비율은 13% 초반까지 낮아진다”고 밝힌 바 있다. BIS 자기자본비율은 주식 등 위험자산에 대해 시가 대비 가중치(250%)를 부여하기 때문에 주식 보유량이 많을수록 비율이 낮아진다.
현재 한화오션의 최대주주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지분 23.14%를 보유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다. 특수관계인을 포함하면 한화그룹의 지분율은 46.28% 수준이다.
산은은 지난 2022년 전략적 투자유치로 한화그룹 앞 신규 유상증자를 2조원 실시한 바 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