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지 복원과 함께 2차 피해 예방 조치도 병행

[파이낸셜뉴스] 산림청은 경북·경남·울산 등 영남지역 산불피해지의 합리적인 복구 추진을 위해 각계각층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영남지역 산불피해 복구 추진단’을 구성·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추진단은 기존의 대형산불 피해지 복원 추진협의회를 산림청 이미라 차장을 단장으로 하고, 산림청 국장급을 반장으로 하는 5개반(사방·시설복구반, 긴급벌채반, 자원활용반, 조림·생태복원반, 지역활성화반)으로 확대·개편해 운영할 계획이다.
각 분야별 추진반은 중앙·피해 지자체 이외에도 산불피해지 복원 분야 연구 경험이 있는 산림과학회 소속 학계 전문가, 산림기술사협회·산림복원협회 등 산림기술 전문가와 시민사회단체, 임업계, 지역주민 등 50여 명의 민·관·학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추진단은 2022년 울진·삼척, 강릉·동해, 영월 대형산불 복구과정에서 확립된 복구 기본원칙을 기초로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해 산불피해지 복구 방향을 확정하고, 지자체별 산불피해지 복구·복원 기본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을 제공할 계획이다.
추진단은 다음달 15일로 예정된 킥오프 회의를 시작으로 지역별 현장토론회(6~7월) 및 지방자치단체별 현장토론회, 기본계획 점검지원(9~11월) 등을 거쳐 12월 지역별 산불피해지 복구·복원 기본계획 수립이 완료될 때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추진단 운영과 함께 산사태 예방·복구 및 긴급벌채 등 산불피해지의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조치도 추진된다.
추진단장인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전례없던 영남지역 산불 피해의 신속한 회복을 위해 확대된 복구 추진단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산불피해지의 사회·경제·환경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합리적인 복구 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