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취업

"내 초봉은 4140만원"...신입 구직자들, 현실은 쓴맛?

신지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29 13:54

수정 2025.04.29 13:54

인크루트, 신입 구직자 691명 대상 '희망 초봉' 조사 신입 입사 마지노선 초봉 3637만원 희망 초봉 상승폭 전년 比 하락
인크루트가 신입 구직자 691명을 대상으로 받고 싶은 희망 초봉에 대해 물은 결과. 인크루트 제공
인크루트가 신입 구직자 691명을 대상으로 받고 싶은 희망 초봉에 대해 물은 결과. 인크루트 제공

[파이낸셜뉴스] 올해 신입 구직자들의 평균 희망 초봉은 '414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크루트는 29일 신입 구직자 691명을 대상으로 받고 싶은 희망 초봉에 대해 물은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지난해(4136만원)보다 4만원 늘었다.

지난해가 전년 대비 192만원의 상승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올해 희망 초봉의 인상 기대 폭은 매우 낮아졌다. 이는 어려워지는 취업 환경 속에서 구직자들의 눈높이가 다소 낮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신입으로 입사할 수 있는 ‘마지노선’ 초봉에 대해서도 물었다. 평균 희망 초봉의 마지노선은 3637만원으로 지난해 3700만원보다 63만원 감소했다. 구직자들의 초봉 눈높이가 낮아졌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구직자들이 가장 입사하고 싶은 기업으로는 △대기업(59.5%) △공기업 및 공공기관(17.5%) △중견기업(17.2%) 순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1순위로 입사하기를 희망하는 구직자들의 평균 희망 초봉은 4358만원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 3806만원, 중소기업 3093만원, 공기업 및 공공기관 3884만원이었다.

이를 결정한 조건과 이유를 묻자 △기업 규모와 업계의 평균 초봉 수준을 고려한 결정(34.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신입사원 초봉으로 적당한 수준이라고 생각 △학자금, 생활비 등 고정 지출 규모를 고려한 결정 응답이 25.5%로 각각 뒤를 이었다.

지원 기업의 연봉 수준이 입사 지원 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 94.8%가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매우 영향 있다(49.8%) △대체로 영향 있다(45.0%) △대체로 영향 없다(4.9%) △전혀 영향 없다(0.3%) 순이었다.

만약 생각한 초봉 수준이 아닌 기업에서 입사 제안이 온다면 입사하겠는지 묻자, 79.2%의 응답자는 ‘다른 조건이 좋다면 입사하겠다’고 말했다. ‘입사하지 않겠다’는 11.7%로 나타났다. '초봉과 상관없이 입사하겠다'는 응답도 9.1%은 나타났다.

입사할 기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으론 응답자의 40.1%가 ‘만족스러운 급여와 보상제도’를 꼽았다. 뒤이어 △본인의 성장, 개발 가능성(14.5%) △우수한 복리후생(8.7%)이 뒤를 이었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