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전 세계가 전례 없는 불확실성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업들은 공급망, 자금 조달, 기술 투자, 인력 관리 등 주요 경영 전략을 재조정해야 하는 압박에 직면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은 첨단 기술 확보를 위해 동맹국 중심의 협력 전략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주장이 나왔다.
삼정KPMG가 4월 30일 발표한 ‘2025 지정학적 리스크 대응 전략(Top Geopolitical Risks 2025)’ 보고서는 올해 5대 지정학적 리스크로 △경제 및 무역의 지각 변동 △복잡하고 파편화된 규제 및 세제 환경 △빠르게 변화하고 정치화된 기술 환경 △공급망에 대한 다양한 위협 △인력 운용의 압박을 선정했다.
이번 보고서는 미중 전략경쟁의 격화, 경제 블록의 재편,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후위기와 같은 복합적인 글로벌 리스크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과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중 전략경쟁과 브릭스(BRICS) 등 중견국 부상으로 글로벌 지정학 구도가 재편되고 있으며,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무역 장벽 강화로 기업들의 투자, 공급망, 제조 입지 전략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여기에 복잡하고 파편화된 규제 및 세제 환경도 기업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글로벌 최저한세를 채택하는 국가가 늘어나는 한편, 일부 국가는 다자간 조세 협력에서 이탈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규제 완화 기조와는 달리 EU를 중심으로 ESG 정보공시 강화 등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들로 하여금 규제 모니터링과 준수를 위한 상당한 자원 투입을 요구하고 있다.
기술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정치화 역시 주요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AI 및 생성형 AI 기술이 국가 안보와 연결되면서 특정 기술에 대한 수출 통제 및 구매 제한이 강화되고 있다. 보고서는 글로벌 기업들이 첨단 기술 확보를 위해 동맹국 중심의 협력 전략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공급망 리스크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지정학적 갈등, 보호무역주의, 자원 경쟁, 사이버 위협, 기후변화 등 복합적인 요소들이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국은 에너지, 식량, 주요 광물 및 기술 공급망을 보호하고 다각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외에도 고령화, 인구 감소, AI 도입 등 구조적 변화로 인해 기업들은 인력 운용 측면에서도 중대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봉찬식 삼정KPMG 전무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단기적인 변동을 넘어 기업 경영의 구조적 변화를 촉발하고 있으며, 공급망, 규제, 기술, 인력 등 경영 전반에서 복합적 리스크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은 리스크 관리 차원을 넘어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투자 및 운영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