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숙원 정년연장 공약·노란봉투법 재추진 촉각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에서 열린 한국노총-더불어민주당 대표 간담회에 앞서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2.21. jhope@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5/01/202505010500557475_l.jpg)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근로자의 날인 1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을 찾아 노동계를 향한 표심 다지기에 나선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한 가운데 노동계의 숙원 과제를 얼마나 수용할지 관심이 쏠린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1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노총 '노동이 만드는 정의로운 사회대전환 실현'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균형 발전과 사회통합' 등의 내용을 담은 정책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앞서 한국노총은 지난달 29일 이 후보 지지를 공식 선언하며 정책 협력을 시사했다. 한국노총은 지난 대선에서도 정책 협약식을 맺고 김 위원장이 민주당 선대위에 합류했다.
이 후보는 이 자리에서 노동계 숙원인 정년 연장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등에 대해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에 초점을 맞추며 우클릭 정책을 다수 내놓은 만큼 전통적 지지층인 노동계 달래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실제 민주당은 당내 정년 연장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올해 9월 노사 공동 입법안을 발표한 뒤 11월까지 입법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근로자 정년 연장을 대선 공약으로 채택하고 사회적 합의를 추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노란봉투법도 재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이 법은 하청 근로자에 대한 원청의 책임을 강화하고, 파업 행위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과 가압류를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민주당은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 노란봉투법을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시켰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해 재표결 끝에 폐기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노란봉투법은 22대 국회 당론 법안 중 하나"라며 "대선에서 이 후보가 승리하면 재추진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