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일반

의대생 복귀 시한 종료…10명 중 7명 유급 되나

뉴스1

입력 2025.05.01 06:03

수정 2025.05.01 06:03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장성희 이유진 기자 =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정한 학생들의 유급 시한인 30일이 지나고 대규모 유급사태가 현실이 됐다. 교육부와 각 대학은 내년도 24·25·26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을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1일 각 의대는 이날 오전 0시까지 수업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은 학생들을 유급 대상자로 확정한다. 유급이 확정된 학생들은 올해 복귀가 불가능하며 내년 1학기가 돼서야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앞서 교육부는 마감 시한을 앞둔 지난달 29일, 전체 재학생 가운데 복귀 찬성 비율이 56.7%라는 '의과대학 학생 대상 수업 참여 의향 익명 설문조사'를 발표하며 복귀를 주저하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독려했다.

시한을 앞두고 의료인 온라인 커뮤니티 메디스태프에선 내부적인 비난이 무서워 복귀하지 못하겠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대학가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유급을 피하기 위해 수업에 복귀한 학생 수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지방의 A 대학엔 전날(지난달 30일) 오후까지 학생 3명만이 복귀를 선택했다고 한다. 지방 소재 B 의대 학장은 같은 날 "학생들의 복귀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전했다.

지난달 말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은 10명 중 3명꼴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감 시한 직전, 의대생들이 갑작스럽게 복귀하지 않았다면 의대생 10명 중 7명은 유급 절차를 밟게 되는 셈이다.

2026학년도 1학기 트리플링은 다가올 현실이 됐다. 교육부와 각 대학도 이제는 이를 각오·대비하는 분위기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관계자는 전날 교육부와 의대 학장 간 회의를 마친 뒤 뉴스1과 만나 "수강 신청 제한이나 관련 규정 정비 등으로 각 대학이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미 동아대는 26학번에게 수강 신청 우선권을 부여하는 내용의 학칙 개정에 나섰다.

지난해 정부는 24·25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상황을 막기 위해 복귀를 거부하는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학사 유연화 방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제는 유연화란 없으며 미복귀는 곧 유급이라는 게 교육부의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과정상 (유급 시한을) 미뤄서는 정상교육이 되지 않고, 6월 이후에 복귀하면 현실적으로 교육이 어렵다"며 "유급 절차가 확정되면 학사 유연화로도 올해는 학교에 돌아올 수 없다"고 재확인했다.

일부 학생들은 오는 6월 새롭게 출범하는 정부가 필수의료패키지를 철회하고, 유급 처리된 의대생을 구제할 수 있다며 기대를 거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의대 총장·학장들은 전날 '의과대학 학생 여러분께 복귀를 요청하는 마지막 말씀'이라는 서한문에서 이에 대해 "확인되지 않고 확인할 수도 없는 헛된 기대"라며 "이날(30일) 24시를 기준으로 유급을 확정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교육부는 오는 7일까지 각 대학으로부터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유급 기준일, 대상자 수, 유급 확정 통보 인원 등을 담은 서식을 제출받을 예정이다. 이후 각 의대는 성적사정위원회를 통해 학기 말에 유급을 최종 확정한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