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편 흠집 내는 네거티브전 양상
유권자는 정책 살펴 현명한 판단을
유권자는 정책 살펴 현명한 판단을

앞으로 일정이 더 큰 문제다.
이 시점에 반드시 두 가지 면에서 유권자의 권리를 확보해야 한다. 투표율 제고와 정책 공개다. 우선 투표율이 역대 대통령 선거에 비해 낮아질 우려가 크다. 진보와 보수 간 이념과 진영 논리가 판을 치면서 국민의 정치혐오감만 높아지고 있어서다. 여기에 부정선거를 둘러싼 갈등도 현재진행형이다. 이런 선거 분위기가 지속되다간 투표장에 나타나지 않는 유권자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유권자가 투표를 포기하는 건 나라의 주인인 국민이 민주주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것과 같다. 국민들의 정치 불신과 혐오는 자신의 나라가 어떻게 되든 말든 내버려두거나 내팽개치겠다는 무책임한 정치 무관심의 확산을 부를 것이다.
대선 후보들의 지지율은 선거일이 다가오면서 요동치고 있다. 아직 판세가 굳어진 것은 아니다. 중도층의 움직임이 결정적 변수가 될 것이다. 최선을 다해 선거운동을 펼치고 투표장으로 유권자를 많이 끌어들이는 쪽이 최후의 승자가 될 것이다. 민주주의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동시에 한국 정치의 발전과 나라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유권자를 투표장으로 더 많이 불러들여야 한다.
각당 후보들은 국가의 미래 청사진을 담은 정책으로 승부를 벌여야 한다. 현재까지 유권자의 머릿속엔 각당 후보들이 내놓는 공약이 제대로 각인되지 않고 있다. 선거 준비기간이 짧은 탓에 대선 공약이 설익은 채로 나왔을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파면을 내세워 '내란 극복' 프레임으로 반사효과를 얻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당내 분열을 수습하고 이 후보의 공세에 역공세를 펼치는 데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두 후보에 대한 반감으로 어부지리 효과를 거두는 양상이다. 전반적으로 짧은 기간에 표심을 얻기 위해 정책 대결보다는 여느 선거처럼 상대방 흠집 내기와 네거티브 선거로 흐르고 있다.
상대방을 깔아뭉개고 인신공격을 해서 집권을 도모하는 구태는 버려야 한다. 이런 선거 행태의 답습은 국민이 바른 선택을 하는 데 방해가 된다. 남은 선거 기간 각 후보는 오로지 실현가능한 정책과 비전으로 경쟁하는 유종의 미를 거둬야 할 것이다. 유권자는 후보들의 정책공약을 바탕으로 어느 후보가 민생을 살리고 경제를 회복시키며, 나아가 국가를 잘 이끌지 현명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