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30대 결혼 러시에 올해 합계출산율 0.8명 돌파 무난할 듯

뉴시스

입력 2025.05.29 05:30

수정 2025.05.29 07:45

1분기 출생아 수 3년만에 최고…혼인 건수도 6년만에 최다 30대 초반 인구 증가 '사이즈 효과'…최근 혼인 급증 영향 "현금성 지원보다 구조개혁 필요…의료 인프라 확충해야"
[고양=뉴시스] 전진환 기자 = 경기 고양시 CHA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2025.05.27. amin2@newsis.com
[고양=뉴시스] 전진환 기자 = 경기 고양시 CHA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2025.05.27. amin2@newsis.com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이 0.82명을 기록하며 3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다. 3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출생아 수가 늘어난 것은 10년 만이다.

지연된 출산이 재개되고 인구가 많은 1990년대 후반생들이 본격적인 출산 연령대로 진입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추세라면 올해 합계출산율이 0.8명을 무난히 넘어설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9일 통계청 '2025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출생아 수는 6만502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4451명) 증가했다.

이는 2022년 1분기(6만8339명)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출생아 수 증가율만 놓고 보면,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 수준이다. 가임기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도 1분기 0.8명대를 회복했다. 1분기 합계출산율은 0.82명으로, 지난해 1분기(0.77명)보다 0.05명 상승했다.

3월 출생아 수도 전년보다 6.8%(1347명) 늘어난 2만1041명으로, 이는 같은 달 기준 10년 만의 증가 전환이다.

혼인 건수 역시 크게 늘었다. 1분기 혼인 건수는 5만8704건으로 전년 대비 8.4% 증가했다. 이는 같은 분기 기준으로 6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이 같은 출산·혼인 증가세에는 인구 구조 변화가 크게 작용했다. 30대 초반(30~34세)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이들은 이른바 에코붐 세대로 불리는 출생아 회복 시기에 태어난 1991년~1995년생들이다. 1분기 30대 초반의 혼인율은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30대 초반 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를 보면 남자는 53.2건, 여자는 57.2건이다.

[서울=뉴시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3월 출생아 수는 6만502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51명(7.4%) 늘었다. 이는 2022년 1분기(6만8339명) 이후 최대치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서울=뉴시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3월 출생아 수는 6만502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51명(7.4%) 늘었다. 이는 2022년 1분기(6만8339명) 이후 최대치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전문가는 코로나19로 연기됐던 출산이 재개되고, 30대 초중반 세대가 대규모 출산 세대로 진입하면서 가임 여성 인구가 늘어난 '사이즈 효과'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센터 책임연구원은 "혼인 후 2년 이내 출산이 전체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한다"며 "2022~2023년 혼인 급증분이 지난해부터 출산으로 이어지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상림 책임연구원은 "올해 합계출산율 0.8명 돌파는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출생아 수도 25만명에 근접할 전망"이라며 "결혼 적령기 인구가 많아 향후 2년 정도는 혼인 증가세가 지속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다만 경기 악화 등의 변수가 있어 출산율이 매년 상승할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러한 출산과 혼인의 증가세를 이어가려면 인구 효과가 사라지는 시점에 대비해 구조적 개혁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금성 지원보다는 근본적인 시스템 전반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이상림 책임연구원은 "이번 출산율 반등을 정부 정책의 성과로 보기는 어렵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현금성 지원의 단기 처방이 아니라 사교육·주거·일자리·수도권 집중 같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 개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출생아가 늘수록 신생아 중환자실·산부인과 등 의료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며 "특히 지방 의료 공백이 커지지 않도록 서둘러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양=뉴시스] 전진환 기자 =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5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3월 출생아 수는 6만502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만568명)보다 4451명(7.4%) 늘었다. 이는 2022년 1분기(6만8339명) 이후 최대치다. 특히 이 출생아수 증가율(7.4%)은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1분기 기준)이다. 혼인 증가 및 결혼·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 등이 출생 반등 흐름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경기도 고양시 CHA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신
[고양=뉴시스] 전진환 기자 =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5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3월 출생아 수는 6만502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만568명)보다 4451명(7.4%) 늘었다. 이는 2022년 1분기(6만8339명) 이후 최대치다. 특히 이 출생아수 증가율(7.4%)은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1분기 기준)이다. 혼인 증가 및 결혼·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 등이 출생 반등 흐름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경기도 고양시 CHA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있다. 2025.05.27. amin2@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rainy7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