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의류 환경 협의체' 발족…생산·폐기 관리제도 추진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지난 4월 17일 서울 명동거리 의류매장에 여름 옷이 진열돼있다. 2025.04.17. mangusta@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5/29/202505290602388138_l.jpg)
환경부는 29일 섬유·의류업체-재활용업체-전문가 등이 함께 하는 '의류 환경 협의체'를 발족하고, 서울 용산구에서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의류 환경 협의체는 의류 대량 생산 및 소비로 온실가스 배출을 비롯해 소각 처분에 의한 환경 영향이 크다는 지적에 따라 환경부와 의류 관련 업체·기관 20여곳이 우리나라 의류 산업의 지속 가능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 세계적으로 '빠른 유행옷'(패스트 패션)에 따른 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재고품 폐기 금지, 친환경 디자인 규정,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 디지털 제품 여권 등의 규제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동시에 역외 수입 제품에 대해서도 똑같은 환경 기준 준수를 요구하고 있어 국내 의류 업체들도 환경 영향을 줄이고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경영에 반영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주요국의 의류 관련 규제 동향과 국내외 의류 재활용 기술 현황을 점검한 후 의류 환경 협의체에서 논의할 과제를 설정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의류 환경 협의체를 통해 업계와 협의를 거쳐 의류 생산부터 유통, 재활용 및 폐기까지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 제도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지속 가능한 의류 산업으로의 전환은 우리 의류 산업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다"며 "국내 의류 산업이 전 세계를 이끄는 순환 경제의 대표 주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협의체와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kangzi8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