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대화는 지속 전망…파업 유예 여부 등은 불투명
창원 시내버스 파업 이틀째…출퇴근 시민 불편 이어져노사 대화는 지속 전망…파업 유예 여부 등은 불투명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 시내버스 파업이 이틀째 이어지면서 시민들 불편이 커지고 있다.
29일 오전 출근길 창원시내 주요 버스정류소에는 시가 임시 투입한 대체 전세버스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수십명씩 서 있는 모습이 곳곳에서 포착됐다.
이번 파업으로 창원 전체 시내버스의 95% 상당인 669대가 운행을 멈추면서 버스 외 다른 대중교통 수단이 없는 창원시민으로서는 말 그대로 발이 묶인 셈이 됐다.
전날 출퇴근길에 오른 시민들은 파업으로 버스 배차시간이 길어진 탓에 평소보다 더 많은 시간을 도로에서 허비해야만 했다.
평소 버스를 타고 등교하는 중·고등학생들의 불편도 상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노사는 경남지방노동위원회 주관으로 지난 27일부터 다음 날인 28일 새벽까지 이어진 막판 조정회의가 결렬된 이후 대화를 재개해 파업 유예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에도 대화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노조 측 파업 유예 여부 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시는 임금·단체협상 쟁점사항에서 합의되지 못한 부분이 있더라도 우선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조가 일단 파업을 중단하고 사후협상을 이어가도록 중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2021년 준공영제 도입 이후 매년 수백억원의 재정이 지원되는데도 파업하는 행위는 "준공영제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라며 파업 장기화에 비판적 입장을 보인다.
한 시민은 시 홈페이지 시민의소리 게시판에 "반복적 파업은 준공영제 운영 취지와 신뢰를 훼손한다"며 "시민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공공성과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시는 노사 간 대화 추이를 지켜보는 한편 버스 운행이 정상화될 때까지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비상수송대책 이행에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ks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