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스마트+ 빌딩 핵심 기술 개발 사업 선정'

[파이낸셜뉴스] 경희대학교가 세계 최초로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건축물을 만드는 기술에 도전한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로봇친화형 건축물 설계·시공, 운영관리 핵심기술 개발·실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기술표준·인증제도 등 제도개선 방안 마련이 목표다.
경희대는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진행하는 '스마트+ 빌딩 핵심기술 개발' 사업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총사업비 203억원 규모로 2028년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전 국민이 건축물을 스마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건축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연구 책임자를 맡은 경희대 건축학과 황경은 교수는 인간중심 로봇건축 연구단을 구성해 본격적인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세계적으로 노동력 부족, 서비스 수요 다양화 등의 요인으로 국내 외 서비스 로봇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로봇은 로비 등 한정된 공간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어, 로봇 서비스 면적 확대를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의 건축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가까운 미래 '1인 1로봇'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사람과 로봇이 공존할 공간이 필요하다.
이번 사업으로 경희대는 세계 최초로 사용자와 사람의 관점에서 인간-로봇 공존 건축환경을 위한 범용 건축설계 및 리모델링 기술 개발에 도전한다. 구체적으로 △인간-로봇 공존 건축물 공간과 시설의 설계 및 시공 기술 개발 △다수·다종 로봇 지원 시스템 및 건축물 운영·관리 기술 개발 △인간-로봇 친화형 건축물 설계·시공 및 운영관리 실증 및 제고 개발에 나선다.
로봇친화형 건축설계·자재 기준 신설, 자율주행, 사족로봇 등 다종 로봇 지원 시스템 구축 및 스마트+ 빌딩 인증제도 등 다양한 성과도 기대된다. 이는 향후 국토부의 '스마트+ 빌딩 로드맵'의 실천 전략으로 활용돼 로봇친화 건축물 표준화 및 보급 활성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