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1분기에도 '짠물 소비'...실질소비 7분기만에 마이너스 전환

이보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5.29 12:12

수정 2025.05.29 12:12

고소득층 내구재·준내구재 소비 줄여
월 535만원 벌어도 지갑 닫은 가계
저소득층은 고물가 탓 지출액 늘어
평균소비성향 3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통계청 제공) /사진=뉴스1
(통계청 제공)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올해 1분기 가구의 소비지출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 가구는 고물가 영향으로 지출액이 크게 늘었고, 고소득 가구는 내구재·준내구재 소비를 줄여였다.

소득 증가세에도 비상계엄 사태, 미국 관세정책 등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 심리 위축이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5만원으로 1년 전보다 1.4% 늘었다.

주거·수도·광열(5.8%), 식료품·비주류음료(2.6%) 등에서 늘었지만 교통·운송(-3.7%), 의류·신발(-4.7%) 등에서는 줄었다.



물가 수준을 고려한 실질소비지출은 0.7% 감소했다.

실질소비지출은 소비 지출에서 물가 변동분을 제거한 것으로 가구의 실제 소비활동을 드러내는 지표다. 실질소비지출이 감소한 것은 2023년 2분기 이후로 7분기 만으로 팬데믹 당시인 2020년 4분기(-2.8%)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물가 변동분이 포함된 소비지출은 월평균 295만 원으로 같은 기간 1.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가구 소비지출을 소득 분위별로 보면 저소득 가구에서는 소득 감소에도 소비 지출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소득 하위 20% 이하인 1분위 가구는 주류·담배(10.8%), 교육(28.2%), 음식·숙박(8.0)% 등 분야의 지출이 큰 폭으로 늘면서 소비지출이 3.6% 늘었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의 소비지출은 2.1% 증가했다. 오락·문화(11.5%), 보건(11.2%) 등에서 소비가 증가했지만 교통·운송(-7.6%), 의류·신발(-3.3%) 등에서 소비를 줄인 결과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1분위 가구 소득은 줄었지만 필요한 지출이 계속되면서 소비지출이 늘었고 5분위 가구는 자동차 구입 등 일부 내구재·준내구재 소비가 줄었다"며 "소비자심리지수가 작년 12월 이후로 계속해서 100을 넘지 않고 있는 것 등이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 미만이면 소비심리가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월평균 소득은 다소 증가했다. 1분기 535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4.5% 증가했다.
실질 소득도 2.3%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3.7%, 3.0% 오른 데다 이전소득도 7.5% 상승한 영향이다.
특히 국민연금을 비롯한 공적연금 수급자가 확대되면서 공적이전소득이 9.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