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지자체 공무원 인사통계 발표
[파이낸셜뉴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중 여성의 비율이 절반을 넘어 계속 증가하고, 5급 이상 가운데 여성 비율도 35%까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행정안전부 '지자체 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지자체 공무원은 31만5천205명으로, 2023년(31만3천296명) 대비 0.6% 늘었다.
지자체 공무원 증가 폭은 2022년 2.3%, 2023년 1.4%에 이어 점차 완만해지고 있다.
여성 공무원 비율은 51.3%로, 전년(50.4%) 대비 0.9%포인트 증가했다.
5급 이상 공무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도 2022년 27.4%, 2023년 30.8%, 2024년 34.7%로 계속 늘고 있다.
17개 시도 중 공무원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5만6948명)였고, 서울시(4만8792명)와 경북(2만4579명), 경남(2만353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직종별로 보면 일반직이 전체의 99.4%인 31만3272명이었고 특정직 984명, 별정직 670명, 정무직 279명이다.
6급 비율이 30.1%로 가장 많았고, 5급 사무관 이상 비율은 8.3%였다.
신규 임용 인원은 1만8772명으로 전년(2만173명)보다 6.9% 줄었다.
퇴직자는 1만5913명으로 전년(1만5588명)보다 소폭 늘었다. 정년퇴직이 37.0%, 의원면직과 명예퇴직이 각각 35.2%, 18.2%였다.
휴직자는 3만1천130명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으며, 이 가운데 육아휴직이 69.7%를 차지하고, 장기요양휴직이 22.1%, 가족돌봄휴직은 5.4%였다.
9급에서 5급 사무관으로 승진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22년 6개월로, 전년보다 5개월 줄었다.
지자체 공무원의 평균 나이는 41.4세이고, 평균 근무연수는 13.5년이었다.
지자체 공무원 인사 통계는 30일부터 행안부 사이트와 통계청에서 확인할 수 있다.
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