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당국과 토지연한 연장 협의
벌크·탱커선 중심에서 전환 추진
벌크·탱커선 중심에서 전환 추진

29일 베트남 현지 관계자와 조선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미포는 최근 베트남 조선소가 위치한 베트남 중남부 칸호아성 당국과 토지연한 연장조치를 비롯한 관련 협의를 마쳤다. HD현대미포는 칸호아성 당국에 기존에 건조 중인 벌크선과 유조선에서 범용 제품의 상선 위주로 체질개선에 나설 전망이다.
HD현대미포의 이번 움직임은 미·중 패권경쟁이 격화되면서 해양 패권 경쟁으로 불이 옮겨 붙고 있는 상황에서 상선을 앞세워 물량 공세 중인 중국 조선을 앞지를 수 있는 시기에 추진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하고 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2월 중국 조선 및 해운업에 대한 '무역법 301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조선소가 만든 선박 및 중국 해운사가 소유한 선박에 대해 항구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의 제재를 내세우며 중국 조선업 숨통 조이기에 나선 바 있다.
중국 조선은 2000년대 들면서부터 정부와 기업이 하나가 돼 '조선업 굴기'에 박차를 가했다. 그 결과 중국이 보유한 상선의 선복량(배에 실을수 있는 화물의 총량)은 이미 세계 1위, 우리나라의 4배에 달한다.
현재 HD현대미포의 베트남 자회사인 HD현대베트남조선(HVS)은 1996년 수리·개조 법인에서 출발해 2000년대 후반 신조 사업에 뛰어든 후 현재까지 200척 넘는 선박을 수주했다. 생산 능력을 종전 연 12~13척 수준에서 생산 설비 확대와 공정 개선 등으로 2030년까지 23척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달 초에는 1억달러(약 1402억원)를 추가 투자에 나선 바 있다. 이에 더해 앞으로 범용 상선 위주의 개편이 이어지면 HD현대미포조선의 상선 건조 능력은 크게 늘어나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HD현대미포는 '칸호아성의 삼성'으로 불릴 정도로 현지 당국과 업계의 신뢰가 두터워 전폭적인 지원이 예상된다"고 말했다.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