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을 만났다.
파월 의장은 이 자리에서 연준의 금리 결정은 비정치적이라는 점을 못 박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의장 교체 카드까지 꺼내며 금리 인하를 압박하면서 파월을 만났지만 이번에도 원하는 답을 듣지 못했다.
연준은 이날 파월 의장이 트럼프를 만났다면서 이 자리에서 통화정책 향후 행보에 관한 논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연준은 성명에서 “대통령의 초청으로 파월 의장이 오늘 백악관에서 대통령을 만나 성장, 고용,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비롯한 경제 상황에 대해 논의했다”라고 밝혔다.
연준은 이어 “파월 의장은 (그러나 통화) 정책이 순전히 발표되는 경제 정보와, 또 이것이 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 좌우된다는 점을 강조했을 뿐 통화정책에 대한 자신의 예상에 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라고 강조했다.
성명은 나아가 파월과 연준 통화정책 담당자들은 여전히 통화정책을 “신중하고, 목표 지향적이며 비정치적인 분석”에 기초해 결정하겠다는 의지가 굳다고 못 박았다.
트럼프는 자신의 관세정책이 유발할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는 한편 감세에 따른 막대한 재정적자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연준에 금리 인하를 요구해왔다.
대통령은 연준 통화정책에 간여하지 않는다는 오랜 전통까지 깨며 지난 1기에 이어 2기 행정부 출범 뒤에도 파월과 연준에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
트럼프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런 금리 인하 압박을 지속했지만 연준은 흔들리지 않고 있다.
지난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전 9월부터 12월까지 세 차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1.0% p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을 끝으로 올해에는 금리를 계속 동결해왔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은행 총재가 지난주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이유로 올해 금리 인하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하는 등 연준 내부에서 추가 금리 인하를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