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아모데이 CEO, AI의 인력 대체 경고
AI 기업 수장으로는 이례적으로 대량 실업 위기 언급
美 실업률 5년 안에 20% 가까이 오를 수도
일반 대중도 AI 사용법 배우고 미래 노동시장 재편에 대비해야
AI가 아닌 AI 활용 능력에 따라 일자리 움직인다는 주장도 있어
AI 기업 수장으로는 이례적으로 대량 실업 위기 언급
美 실업률 5년 안에 20% 가까이 오를 수도
일반 대중도 AI 사용법 배우고 미래 노동시장 재편에 대비해야
AI가 아닌 AI 활용 능력에 따라 일자리 움직인다는 주장도 있어

[파이낸셜뉴스] 미국에서 ‘오픈AI’의 대항마로 불리는 인공지능(AI) 기술 창업초기기업(스타트업) ‘엔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최고경영자(CEO)가 AI로 인한 대규모 실직 사태를 경고했다. 현지 매체들은 학계나 재계에서 비슷한 예측이 나온 경우는 많지만 실제 AI 기업의 수장이 공개적으로 이러한 예측을 내놓은 것은 매우 드물다고 평가했다.
아모데이는 29일(현지시간) 미국 CNN과 인터뷰에서 “AI가 거의 모든 지적인 업무에서 인간을 능가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AI로 인해 가까운 시일 내에 대량 실업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우리는 사회적으로 이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AI는 나 혹은 다른 CEO 들이 하는 일을 포함해 모두가 하는 일을 더 낫게 해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모데이는 이미 이달 28일 미국 온라인 정치매체 악시오스와 인터뷰에서 “AI가 기술 및 법률, 컨설팅, 금융 등 주요 사무직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할 준비를 마쳤다”고 지적했다. 그는 “AI는 앞으로 5년 안에 모든 하위 사무직 일자리의 절반을 없앨 수 있으며, 그 결과 실업률이 10~20%까지 오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지난 4월 실업률은 4.2%였다. 세계경제포럼(WEF)이 지난 1월 공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41%에 달하는 고용주들이 AI 도입으로 인력을 줄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아모데이는 “대중과 정부에 경고하기 위해” 이러한 실업률 전망을 내놨다고 밝혔다. 그는 CNN 인터뷰에서 대량 실업 시대를 맞아 정부가 AI 기업에 따로 세금을 부과해야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CNN은 과거의 경우 기술 발전으로 저임금·저숙련 노동자 일자리가 사라졌지만 AI의 진보는 오히려 숙련 사무직 일자리를 빼앗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직업을 잃은 사무직들이 새로 직업 훈련을 받거나 더 좋은 급여를 받는 직종으로 옮기기 어렵다고 예측했다.

아모데이는 AI 기술의 진보가 과거 다른 기술의 진보와 달리 “더욱 빠르고, 적응하기 힘들며, 광범위한 변화를 초래한다”며 대응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CNN과 인터뷰에서도 “경종을 울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모데이는 “다른 AI 업계 리더들이 충분하게 경고하지 않고 있다”면서 "누군가는 분명하게 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AI의 진보라는) 버스를 멈출 수 없다”면서 “내 위치에서는 오직 기술의 방향을 살짝 바꿀 수 있기를 희망할 뿐”이라고 말했다. 아모데이는 “우리가 위험을 인지하고 대응하면서도 (AI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일반 대중들이 AI 사용법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앤스로픽과 마찬가지로 AI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미국 메타플랫폼의 마크 저커버그 CEO도 지난달 29일 마이크로소프트(MS)의 사티아 나델라 CEO와 진행한 대담에서 AI를 언급했다. 저커버그는 당시 “내년에 메타플랫폼에서 개발하는 프로그램 개발의 절반 정도는 AI가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델라 역시 “현재 MS의 저장소에 프로그램과 다른 프로그램에 있는 코드 중 20~30%는 AI가 썼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IT 리더들 가운데 AI가 노동시장에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는 인물도 있다.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는 미국의 비영리 싱크탱크인 밀컨 연구소가 이달 주최한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여러분은 AI가 아니라 AI를 활용하는 사람에게 일자리를 뺏기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AI가 보편적으로 쓰이면 세계적으로 기업 및 산업 현장에서 기술 격차와 인력 부족 문제가 줄어들 수 있다며, 이로 인해 3000만~4000만명의 사람들이 일자리를 가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