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우주항공청은 지난 27일 국제 거대전파망원경 관측소(SKAO)와 국제 거대전파망원경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국제 거대전파망원경 관측소(Square Kilometre Array Observatory)는 ‘SKA 프로젝트’를 주관하는 국제기구로, 망원경 건설 및 운영, 데이터 처리 및 분석, 국제협력 등을 총괄한다. 전파망원경은 일반적인 광학망원경과 달리 천체가 방출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수신가능하다. 특히 성운, 우리은하 중심 등 우주먼지로 가려진 영역, 블랙홀과 같은 특이 천체의 관측에 이점이 있어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다.
지난 2022년에 건설을 착수한 SKA 프로젝트는 대규모 천문·우주 전파관측을 위한 사상 최대 규모의 전파망원경을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총사업비 약 3조 원(한국은 약 345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우주청은 이번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해 SKAO의 회원국에 준하는 자격을 획득하고, SKA 건설 및 운영에 국내 전문가 파견, 산업체의 조달 참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SKAO와의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는 동시에, 국내 산업체의 관련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새로운 이윤 창출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주청은 최종적으로 정회원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관련 국내외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정회원 자격 확보 시 SKAO의 주요 의사 결정 과정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이번 양해각서(MoU) 체결은 한국이 SKAO와 협력에 본격 참여하는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SKA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국내 연구기관과 산업체가 글로벌 협력 생태계에 진입하고, 우주 기원 규명 등 인류의 과학 지평을 넓힐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