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관세정책 혼란에 숨고르기 들어간 가상자산 [코인브리핑]

김현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6.02 14:14

수정 2025.06.02 18:21

비트코인 11만달러선 뚫린 후 10만 중반대로 밀려
리플(-7%)·솔라나(-10%) 등 알트코인 약세
"비트코인=디지털 금" 인식은 유효
미국발 관세정책 혼란에 가상자산 시장은 숨고르기 국면에 접어들었다. Open AI를 활용한 이미지.
미국발 관세정책 혼란에 가상자산 시장은 숨고르기 국면에 접어들었다. Open AI를 활용한 이미지.

[파이낸셜뉴스] 가상자산 시장이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숨고르기 국면에 진입했다. 11만달러선을 돌파해 신고가를 경신했던 비트코인은 10만5000달러대에서 횡보 중이며, 솔라나·리플 등 알트코인 역시 지난주 대비 일제히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의 재정 리스크와 탈달러 흐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2일 글로벌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10만5669달러로 전주 대비 3.07% 하락했다. XRP(리플)은 6.98% 하락한 2.18달러, 솔라나는 10.20% 급락한 158달러를 기록했다.

직전 상승랠리에서 상대적으로 배제됐던 이더리움은 0.59% 내린 2536달러로 낙폭이 크지 않았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 및 관세 리스크 재부각에 따라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 고조가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미 연방준비제도 위원들은 지난달 28일 연방공개시장위원(FOMC)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플레이션 및 실업 위험이 동시에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물가상승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스테그플레이션'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상호관세 철회와 관련한 미 법적 공방에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재차 글로벌 경기를 뒤흔들고 있다. 지난 5월 28일 미국무역법원(USCIT)는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시행한 상호관세의 철회를 명령했으나, 백악관이 이에 항소하면서 항소법원은 미국무역법원의 종전 판결의 효력 정지를 결정했다. 이런 정책 혼선으로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위축돼 미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지난달 30일 발표된 미 4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PCE가격지수는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지표로, 미국 내 소비자가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지불한 비용을 의미한다. 하지만 PCE 가격지수는 경기후행지수로 분류되는 만큼 아직 관세정책에 따른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글로벌 증시 혼조에도 전문가들은 시장에서 비트코인을 가치저장 수단으로 바라보는 이른바 '디지털 금'화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NH투자증권 홍성욱 연구원은 "달러 신뢰 저하와 미국 정부 재정 우려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면서 비트코인은 기존의 위험자산적 성격보다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성격이 확대되고 있다"며 "올해 들어 비트코인은 기존에 궤를 같이하던 나스닥 기술주 등 위험자산이 아니라,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금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미국 정부의 신용부도스와프(CDS)스프레드가 별다른 외부 충격 없이도 상승하고 있다"며 "이는 (미국에 대한) 초장기적인 신뢰 붕괴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시장이 '보험 자산'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향후 미국의 관세 정책, 금리 방향성, 스테이블코인 법안 통과 일정 등을 중심으로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의 중장기 흐름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localplace@fnnews.com 김현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