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뉴시스] 강경국 기자 = 경남 창원시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이 엿새째로 접어든 가운데 2일 시민들이 오지 않는 시내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2025.06.02. kgkang@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6/02/202506021159081808_l.jpg)
2일 창원시에 따르면 파업에 따른 비상수송대책으로 2일 오전 전세버스 152대와 관용 버스 10대, 임차택시 330대를 각 버스 노선에 배차해 운용 중이다.
하지만 파업에 참가한 버스회사는 준공영제 운용 9개사로 669대의 버스가 멈춰서면서 평소 시내버스 노선 운행률과 비교하면 38% 수준에 불과하다.
이 역시 지난 주말에 20%였던 수준보다는 다소 나은 편이지만 평상 시 대비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사실상 시내버스 기능을 상실한 상태다.
출퇴근 시간대 시내버스를 이용하던 시민들은 오지 않는 버스를 기다리다 지각을 하는 일이 급증했고, 일부 시민과 학생들은 택시를 타고 출퇴근을 하고 있다.
특히 출퇴근 시간 자가용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늘어나면서 곳곳에서 정체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창원시 공영자전거인 누비자를 이용해 이동하는 시민들도 눈에 띄게 늘었다.
유례 없이 장기화된 시내버스 파업에 따른 불만도 잇따르고 있다.
시내버스 파업에 대비해 설치한 콜센터에는 하루 평균 3000건 이상의 문의와 불편 전화가 접수되고 있으며, 창원시 홈페이지에도 각종 문의와 불만이 게시되고 있다.
한편 손태화 창원시의장은 지난달 30일 입장문을 내고 "파업 탓에 만에 하나라도 창원의 유일한 대중교통인 시내버스를 이용하지 못해 투표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해선 안 된다"며 "시내버스 파업을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해 제21대 대통령선거 이후로 미루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창원시도 같은 날 호소문을 내고 "끝까지 책임 있는 자세로 시민의 불편을 하루라도 빨리 해소하기 위해 모든 행정력과 정책적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며 "협상은 계속하되 버스는 달려야 한다"며 시민들의 이동권 보호를 호소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gk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