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화력 재무위기 심각…나머지 발전소도 가동율 10%

건의서는 “삼척을 비롯한 동해안 일대는 수도권 전력공급의 핵심이자, 국가 에너지정책에 따라 발전 인프라를 구축해온 지역”이라며 “하지만 HVDC(초고압직류송전) 송전선로 사업 지연으로 지역 발전소 가동률은 10% 내외로 추락했고, 삼척화력은 심각한 재무위기”라고 주장했다.
삼척상공회의소는 지난 2024년 말부터 정부와 국회, 산업통상자원부에 지속적인 건의와 면담을 진행해 왔지만, 정부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답변만을 반복해왔다고 지적했다.
특히 송전망 용량 대부분을 차지한 울진 원전과 달리, 동해안 민간 석탄화력발전소는 수년째 전력생산이 제한되며 지역 간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이로 인해 협력업체 도산, 고용불안, 세수감소, 주민지원 축소 등 지역경제 전반에 연쇄 충격이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삼척상의는 정부에 다음 세 가지 핵심 대안으로 ▲송전망 이용의 형평성 확보 및 정산금 조속 지급 ▲민간 발전사-지역기업 간 PPA 직접계약 제도 도입 ▲동해안 AI 데이터센터 특구 지정과 연계 산업 유치를 건의했다.
정희수 삼척상공회의소 회장은 “정부가 정책 실패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 없이 지역의 희생만을 요구하고 있다”며 “더 이상은 물러설 수 없다. 실질적이고 즉각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asinoho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