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산구, 2일 금호타이어 화재 노사민정 첫 회의
"노동자 대표단 필요" "전소한 화학물질 정보 공개해야"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광주 광산구에서 노사민정이 참여해 금호타이어 화재 관련 후속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광주 광산구는 2일 오후 2시 광산구청 상황실에서 노사민정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금호타이어 화재 대응 대책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노동계, 기업·경제, 시민사회, 지역 국회의원, 시·구의회 등 노사민정을 대표하는 23명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주민 보상 ▲공용위기지역 연대 ▲금호타이어 정상화 논의 ▲지역경제 활력 방안에 대한 의견을 발표했다.
첫번째는 노동자 고용 불안과 지역사회 경제 타격 우려를 고려해 대주주인 더블스타가 빠른 시일 내 공식 입장을 밝혀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노동자 등의 의견이 정책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창구와 대책위를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조광수 광산구 노사민정협의회장은 "공장 노동자와 협력업체 관계자가 1만 명에 육박하는 만큼 대주주인 더블스타가 공장 재건·함평 이전·폐쇄 3가지 안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고용위기지역 지정 또한 불투명한 만큼 광주 만이라도 이분들이 재기할 수 있도록, 그 고민을 알아줄 조직을 꾸려야 한다"며 "노사민정이 모여 일관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대책회의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찬호 광주노동권익센터장은 협력업체의 줄도산 위기와 관련해 "협력업체는 금호타이어 관련 향후 계획에 아무런 정보가 없다"며 "5400여명의 협력업체 노동자의 애로사항을 전달하는 노동자 대표단을 꾸릴 필요도 있다"고 했다.
주민 피해 후속 대책과 함께 금호타이어가 화재 당시 전소한 화학물질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영선 광산구의회 경제복지위원장은 "광산구는 심폐·호흡기질환 표본조사를 통해 화재 당시 어떤 상황이었는지 주민에게 명확히 설명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최지현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장은 "주민이 화재로 인해 향후 어떤 피해를 입을 지 우려된다. 전소된 물질과 유출량에 대한 정보 협조가 필요하다"며 "화재에 대한 명확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철저한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대책 수립, 금호타이어의 책임 있는 자세도 요구했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더블스타측은 시간만 보내지 말고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며 "주민·상인 보상, 노동자들의 생활 대책 문제, 금호타이어 정상화와 지역 사회 상생 방안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해외 공장 추진 등 구체적인 사측 입장이 나오지 않았다"며 "지역사회에 피해를 드려 죄송하다. 피해 복구에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하고 회사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hyein034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