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산업 공약에 빠졌으나 '에너지 믹스'로 생태계 유지 전망
우주항공·방위·조선산업 육성, GTX 구축·육해공 '트라이포트' 건설 공약
[이재명 시대 지역현안] 경남 주력산업 '미래성장' 디딤돌 확보원전산업 공약에 빠졌으나 '에너지 믹스'로 생태계 유지 전망
우주항공·방위·조선산업 육성, GTX 구축·육해공 '트라이포트' 건설 공약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재생에너지 대전환'을 주요 공약으로 내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됨에 따라 우리나라 '원전산업 중심지' 경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경남은 우리나라 제조업 중심지면서 원전산업이 발달한 곳이다.
원전 주기기를 생산하는 두산에너빌리티를 중심으로 300여 개 협력업체가 경남에 모여있다.
여기에 경남도는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원전산업 클러스터(집적지)로 발돋움하려는 청사진을 제시한다.
문재인 정권 당시 '탈원전', 윤석열 정권 때 '원전 생태계 복원' 등 정권 따라 원전 정책이 '냉탕'과 '온탕'을 오가자 새 정부가 어떤 원전 정책을 추진할지가 경남도, 경남 원전업체 최대 관심사였다.
선거운동 기간 이재명 대통령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전국에 공급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을 대표적인 정책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원전과 관련해서는 언급을 삼갔다.
17개 광역시도 공약(경남)에도 원전 관련 내용은 빠져 있다.
경남도는 SMR 제조혁신 허브 조성 등 원전 활성화 정책을 대선공약에 반영해달라고 민주당에 건의했으나 포함되지 못했다.

경남도는 "SMR을 중심으로 원전 정책이 민주당 공약에 들어갈 것으로 기대했지만, 빠진 점이 아쉽다"고 전했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캠페인·TV 토론 등에서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과 함께 에너지 믹스(에너지원 다양화)가 중요하다"고 일관적으로 밝힌 만큼, 새 정부가 출범해도 원전산업이 안정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민주당 관계자는 "원전 정책을 공약으로 구체화하면 찬반 논란 등 불필요한 잡음을 부를 수 있어 톤다운(수위 조절) 했다"며 "공약에 원전 정책이 빠졌어도 필요한 것은 하겠다는 것이 우리 입장이다. 경남도, 원전기업이 우려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 소속 허성무 민주당 국회의원(경남 창원성산)은 "첨단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는 데 대통령과 민주당 의원들이 공감한다"며 "전 정부가 올해 초 확정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있는 원전 2기 신설, 설계수명이 다하는 원전 재가동을 뒤집을 이유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허 의원은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SMR 등 차세대 원전이 경남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민주 진영에서 대한민국 말고 SMR 제작 경쟁력을 가진 국가가 없다. 미국이 설계한 반도체를 대만이 생산하듯, 두산에너빌리티 등 경남 원전 기업이 SMR 제작을 맡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허 의원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민주당 황정아 의원은 SMR 연구개발·산업화 지원 등을 담은 SMR 특별법안을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각각 발의한다.
경남 대표 주력산업인 우주항공·방위·조선산업은 이 대통령 정책공약에 포함되면서 새로운 도약 디딤돌을 확보했다.
이 대통령은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 및 공장이 있는 사천시는 군용기·부품 제조 중심 거점으로, 진주시·사천시에 위치한 경남우주항공국가산단은 발사체·위성체·지상장비를 망라한 글로벌 우주항공 중심지로 키우겠다고 정책공약에 명시했다.
덧붙여 우주항공청 청사를 당초 목표한 2030년보다 일찍 완공하겠다고 약속했다.
방위산업 육성 공약의 최대 수혜지 역시 육해공 모든 분야 무기·방산 부품을 생산·수출하는 'K-방산 중심지' 경남이 꼽힌다.

이 대통령은 방산 수출 컨트롤타워 신설, 대통령 주관 '방산 수출 진흥전략회의' 정례화로 '방산 글로벌 4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여기에 항공기·미사일·위성 등 전후방 산업을 육성하고, 방위산업 소재·부품 국산화를 촉진해 기술 자립도를 높이면서 방산 수출기업에 연구개발 세액 감면 추진, 방산 중소기업 지원 강화를 공약했다.
KAI가 생산하는 KF-21 전투기 후속 차세대 전투기 개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도하는 독자 기술 기반 항공기 엔진 개발도 공약에 담겨 사업을 구체화하거나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친환경 미래선박 시장 선점, 선박 제조 시스템 고도화, 중소 조선사 경쟁력 향상, 상선·군함 MRO(유지·보수·정비) 육성 등을 담은 '조선업 미래 발전 5대 전략' 공약은 세계적인 '조선산업 집적지' 경남도 입지를 더욱 굳힐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부산·울산·경남을 30분대에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망(GTX) 구축, 가덕도신공항·진해신항·남부내륙철도 기반 육해공 '트라이포트' 건설, 해상풍력 특화단지 조성, 제조특화 인공지능(AI) 플랫폼 개발, 국립청소년수련원 설립,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유치는 17개 광역시도 공약(경남)에 들었다.
경남도는 대통령 정책공약·17개 광역시도 공약에서 경남경제자유특별자치도 출범, 남해안권 국제해양관광특구 지정, 의대·법학전문대학원 설립 등 핵심 과제가 빠진 점을 아쉬워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재명 대통령 공약이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 방산부품연구원 설립, 경남경제자유구역특별법 제정, 창원방위·원자력국가산단 조성, 사천공항 국제공항 승격 등 구체적인 모습으로 국정과제에 담기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seam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