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6세대 이동통신(6G) 시대의 방향성과 핵심기술을 담은 '6G Insight: 비전과 기술 백서 v2.0'을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6G 기술의 종합적인 발전 방향을 정리한 자료로, 2020년 발표된 1차 백서를 기반으로 작성된 개정판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R)이 지난해 승인한 IMT-2030(6G) 프레임워크와 최신 글로벌 기술 흐름을 반영했다.
백서에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제시한 6G 주요 시나리오도 함께 소개됐다. 몰입형 통신, 초저지연 통신, 초연결 통신, AI-통신 융합, 센싱-통신 융합, 유비쿼터스 연결 등 여섯 가지 시나리오별로 주요 사용 사례를 담았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실감 나는 확장현실(XR) 서비스 구현, 수십억 개 기기의 동시 연결,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통신 서비스, 언제 어디서나 끊김이 없는 네트워크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ETRI는 설명했다.
궁극적으로 6G 시대는 사람과 사물, 현실과 가상, 지상과 우주를 하나로 연결하는 '입체통신 초연결 사회'로 나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백용순 ETRI 입체통신연구소장은 "올해부터 본격화된 국제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의 국제 표준화 작업에도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며 "지난해 시작된 6G 2단계 산업화 기술 개발사업과 올해 착수한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6G 산업 기반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