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못쓰는 의약품, 우체통에 버리세요…텀블러 쓰고 포인트도"

뉴시스

입력 2025.06.04 12:00

수정 2025.06.04 12:00

행안부, 6월의 추천 공공 서비스 선정 폐의약품 회수서비스·탄소중립포인트
[서울=뉴시스] 우체통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 모습. (사진=우정사업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우체통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 모습. (사진=우정사업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행정안전부는 오는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와 '탄소중립포인트'를 6월의 추천 공공 서비스로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행안부는 정부 서비스 중 이슈·시기별로 국민이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을 '추천 공공 서비스'로 선정해 매월 소개하고 있다.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는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변질·부패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폐의약품을 밀봉해 우체통에 배출하면 집배원이 수거하는 서비스다. 집배원이 지자체가 지정한 장소에 두면 지자체가 안전하게 처리한다.

폐의약품은 무분별하게 버려질 경우 토양·수질 오염은 물론 생태계 교란까지 일으킬 수 있어 '생활계 유해 폐기물'에 속한다.



하지만 정확한 폐기 방법을 알지 못하거나 주민센터, 보건소, 약국 등 전용 수거함에 배출하는 방식이 번거로워 대부분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우정사업본부는 2023년부터 지자체와 협업해 우편 제도를 활용한 수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주민센터 등에서 배부하는 전용 회수 봉투 또는 일반 봉투에 '폐의약품'이라고 적은 뒤 밀봉해서 우체통에 넣으면 된다.

탄소중립포인트는 국민이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지구 지키기' 활동을 할 때마다 현금과 포인트 등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녹색생활 실천, 에너지, 자동차 등 3가지 분야가 있으며, 연간 최대 27만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녹생생활 실천 분야는 전자영수증 발급(건당 100원), 텀블러·다회용컵 이용(300원), 친환경제품 구매 및 폐휴대폰 반납(1000원) 등 생활 속 친환경 활동 참여로 연간 최대 7만원의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에너지 분야는 가정, 상업시설 등에서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의 사용량을 절감하면 감축률(5~15%)에 따라 포인트가 차등 지급된다.

과거 2년간 동월 평균 사용량과 현재의 사용량을 비교해 15% 이상 감축하면 연간 최대 10만원의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자동차 분야는 연간 주행거리 감축률과 감축량 중 신청자에게 더 유리한 방식을 적용해 전년 대비 주행거리 감축률이 40% 이상이거나 4천㎞ 이상 주행거리를 줄이면 최대 10만원이 지급된다.

탄소중립포인트는 각 분야별 홈페이지와 통합 앱(카본페이)에서 회원가입 후 참여할 수 있다.
적립된 포인트는 현금과 카카오·네이버페이 포인트,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받을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kkangzi8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