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낙동강에 때이른 조류경보 발령…경남도, 녹조 선제 대응

연합뉴스

입력 2025.06.04 14:05

수정 2025.06.04 14:05

비점오염물질 관리·방류 수질 농도 강화·총인 배출량 감소·녹조제거선 배치 등
낙동강에 때이른 조류경보 발령…경남도, 녹조 선제 대응
비점오염물질 관리·방류 수질 농도 강화·총인 배출량 감소·녹조제거선 배치 등

2024년 8월 창녕함안보 녹조제거선 (출처=연합뉴스)
2024년 8월 창녕함안보 녹조제거선 (출처=연합뉴스)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경남도는 5월 말부터 발령된 낙동강 조류경보에 대응해 먹는 물 걱정이 없도록 선제적 녹조 관리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최근 낮 기온이 오르면서 유해 남조류 세포수가 증가하자 지난달 29일 김해와 양산 사이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이보다 상류에 있는 함안 칠서지점도 곧 '관심' 단계에 들어설 것으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예상했다.

이에 도는 먼저 녹조 원인물질 인(P)을 많이 함유한 가축 분뇨, 퇴비, 화학비료가 낙동강으로 흘러들지 않도록 농업 비점오염물질 관리에 집중한다.

또 하수처리장 방류 수질 농도를 법적 기준보다 강화하고 폐수·가축분뇨시설, 개인오수처리시설 267곳을 특별 점검해 총인(T-P·물에 포함된 인의 총량) 배출량을 줄인다.



발생한 녹조는 제거선을 띄워 없앤다.

한국수자원공사는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남강 유역 수곡천에 집중형 오염처리시설을 설치하고, 한국환경공단은 김해시 화포천 유역에 비점오염원 처리시설을 추진한다.

올해 환경부는 창녕합천보, 칠서정수장 인근, 창녕함안보, 물금매리 지점, 진주 남강댐에 녹조제거선을 1∼2대씩, 6대를 배치한다.

낙동강을 상수원으로 쓰는 경남 시군 정수장은 오존·활성탄을 사용한 고도정수처리를 강화하고 조류독소, 냄새물질 검사 주기를 법적 기준보다 1회 이상(일주일 기준) 늘린다.


도는 창원시, 낙동강물환경센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농어촌공사 등과 녹조 방제 협력을 강화한다.

seam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