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각종 악재로 국내 철강산업이 위기에 놓인 가운데 경북 포항시가 철강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지원해달라고 촉구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4일 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미국의 철강 관세 인상 조치는 단순한 무역 문제가 아니다"며 "포항은 물론, 대한민국 제조업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철강산업은 전 세계적 경기 침체와 중국산 저가제품 공세에 더해 최근 미국이 철강제품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높이기로 하면서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미 현대제철은 포항2공장 가동을 축소했고 무한궤도 부품 및 완제품을 생산하는 포항1공장 내 중기사업부를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도 지난해 7월 포항제철소 내 1제강공장을 폐쇄한 데 이어 같은 해 11월 1선재공장을 폐쇄했다.
포항시는 철강업계가 미국 관세 파고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철강 등 제조업의 위기를 외면하면 미국처럼 제조업을 되살리는 데 훨씬 더 큰 힘이 든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시는 다른 철강산업도시와 손잡고 철강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격상하고 특별법을 만들어 지원하도록 정부를 설득할 방침이다.
산업용 전기료 지원, 포스코의 LNG발전소 증설, 수소환원제철 추진 등도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 시장은 "철강산업을 그냥 업계에만 맡겨놓기엔 위험한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해줘야 철강산업이 살아나고 경제 충격을 덜 받는데 이것을 도외시하면 큰일 난다"고 강조했다.
sds12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