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후보 시절 "충청권 '배터리 제조 거점'으로 육성" 공약
정부 인프라 지원·소부장 특화단지 지정 등 산업 생태계 고도화 기대
[이재명 정부] 배터리로 대한민국 재충전…충북 삼각 벨트 핵심지로 뜬다이 대통령 후보 시절 "충청권 '배터리 제조 거점'으로 육성" 공약
정부 인프라 지원·소부장 특화단지 지정 등 산업 생태계 고도화 기대

(청주=연합뉴스) 천경환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 충청·영남·호남권을 묶어 'K-배터리(이차전지) 삼각 벨트'를 조성하겠다고 공약했다.
그의 당선과 함께 이 약속이 현실화한다면 그 중심에 있는 충북은 국내 배터리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충북은 이미 배터리 생산·수출액 전국 상위권에 있고, 제조시설과 연구 기반도 빠르게 확장하고 있어 정부 지원이 더해진다면 관련 산업 생태계의 핵심 축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4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승리를 확정 지은 이 대통령은 선거운동이 한창이던 지난달 31일 청주 오창을 찾아 "배터리 산업은 대한민국 경제 대도약의 핵심이자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중심축"이라며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관련 투자와 생산이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국내 생산 촉진 세제를 별도로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충청권은 배터리 제조, 영남권은 핵심 소재와 미래 수요 대응, 호남권은 핵심 광물과 양극재 거점으로 삼겠다"며 "세 곳을 잇는 배터리 삼각 벨트를 조성, 지역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특화단지에 걸맞은 인프라를 지원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의 이 공약은 이차전지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충북에 날개를 달아줄 것으로 기대된다.
충북의 이차전지 생산액은 2022년 기준 20조4천억원으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수출액 역시 2023년 기준 약 25억달러(3조4천억원)로 최상위에 있다.
충북에는 또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등 이차전지 관련 기업 130여개를 비롯해 청주 오창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배터리 제조시설과 연구개발(R&D) 인프라가 집적돼 있다.
여기에 2021년 2월 전국 유일 이차전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로 지정된 데 이어 2023년 7월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선정되면서 관련 산업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충북도는 현재 청주 오창에 이차전지 시험시설인 BST-ZONE(Battery Solution Testbed-Zone)도 구축해 운영 중이다.
대표적으로 배터리 소재 기능을 분석하는 '배터리 산업지원센터'와 새로 개발한 소재로 배터리를 만들어보는 '배터리 제조검증 지원센터' 등이 최근 개소했다.
이 외에도 전동킥보드와 같은 소형 이동 수단용 배터리 성능을 평가하는 MV(Micro Vehicle)급 '배터리환경신뢰성평가센터',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전지 제조지원센터', 인공지능(AI) 등을 기반으로 배터리 제조공정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센터 등이 단계적으로 세워질 예정이다.
이처럼 배터리 개발부터 제조, 분석, 평가, 공정 고도화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인프라가 갖춰진 곳은 전국에서 충북이 유일하다.
아울러 배터리 수출량과 시장 점유율이 높은 LG에너지솔루션과 같은 앵커기업이 충북에 자리 잡고 있어 이재명 정부가 삼각 벨트를 구축한다면 충북이 최대 수혜지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관계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전문인력 양성까지 활발히 이뤄지면서 충북 배터리 산업 기반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상필 충북도 산업육성과 이차전지산업팀장은 "장기적으로 민간 연구소를 충북으로 유치, 연구개발 기능을 강화하는 이차전지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목표가 있다"며 "충북은 이차전지 산업 역사가 길고 생산량과 수출 실적도 안정적이어서 산업 중심축 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산업을 확장하고 인재를 육성하려면 지리적 요건이 중요한데, 국토 정중앙에 있어 최적의 입지를 갖췄다"며 "이재명 정부의 배터리 정책에 맞춰 지역 전략산업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kw@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