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우크라이나 ‘거미집’ 작전 주인공은 ‘말벌’ 이름의 2000달러 짜리 드론-WSJ

뉴시스

입력 2025.06.04 16:50

수정 2025.06.04 16:50

장거리 드론, 러시아 방공망에 막혀 부품 반입해 조립 후 발사 드론 3.3kg 탑재량 싣고 최대 시속 145km 속도 비행 가능
[AP/뉴시스] 1일(현지 시간) 우크라이나 보안국이 공개한 영상에서 우크라이나 드론이 러시아 영토 깊숙이 침투해 전투기를 공격하는 모습. 2025.06.04.
[AP/뉴시스] 1일(현지 시간) 우크라이나 보안국이 공개한 영상에서 우크라이나 드론이 러시아 영토 깊숙이 침투해 전투기를 공격하는 모습. 2025.06.04.

[서울=뉴시스] 구자룡 기자 =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 우크라이나가 1일 러시아 내부 깊숙한 공군 기지에 있는 전략 폭격기들을 타격한 ‘거미집’ 작전을 수행한 우크라이나의 드론은 불과 2000달러 짜리라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는 이런 드론 117대를 출격시켜 4개 기지에서 70억 달러 상당의 전략 폭격기 41대를 손상시켰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 업체 ‘퍼스트 컨택트’에서 생산한 이 드론은 ‘오사’라는 쿼드콥터(회전 날개 4개)로
사람 팔 길이 만하다. 이 드론은 최대 7파운드(약 3.3kg) 탑재량을 싣고 최대 시속 145km의 속도로 비행할 수 있다.

퍼스트 콘택트의 창립자 발레리 보로비크는 드론이 작전에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지만, 복잡한 특수 작전을 위해 제조되었다고 말했다.



‘오사’는 우크라이나어로 ‘말벌’을 뜻한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전략 폭격기들이 우크라이나 방공 시스템의 사거리 밖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대책에 부심했다. 일부는 최대 3000마일(약 4800km) 떨어진 비행장에 주둔하고 있었다.

우크라이나 보안군(SBU)은 장거리 무인 항공기를 투입했지만 미사일 요격기와 재머를 포함한 러시아 방공 시스템에 취약했다.

우크라이나는 드론 부품을 러시아로 밀수해 비밀 장소에서 조립하는 것으로 이를 돌파했다.

러시아내 SBU 요원들은 트럭 운전사들을 이용해 드론을 나무 컨테이너 지붕에 숨겨 ‘현대판 트로이 목마’가 됐다.

1일 러시아 공군 기지 근처 트럭의 지붕이 원격으로 작동해 열리면서 수십 대의 드론이 방출됐다.

4개의 회전 날개가 달린 쿼드콥터 100대 이상이 목표물을 향해 빠르게 돌진했다. 일부는 이미 손상된 항공기에서 피어오르는 연기를 뚫고 하강했다.

이번 작전을 성공시킨 SBU와 42세의 장교 바실 말리우크 중장은 폭발적인 해군 및 공중 드론을 사용한 혁신적인 작전으로 명성을 얻었다고 WSJ은 전했다.

크름반도내 기지에서 흑해 함대의 대부분을 철수시키고 러시아 내륙에 있는 수십 개의 석유 공장과 군수 생산 시설을 손상시켰다.

트럭 폭탄을 사용해 러시아 본토와 점령된 크름반도 사이의 케르치 다리를 파괴한 것부터 영토 내 요인 암살까지 다양하다.

폭발하는 스쿠터로 러시아 장군을 사살한 사례와 조각상에 폭탄을 숨겨 유명 전쟁 블로거를 죽인 사례도 있다.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소재 대량살상무기 연구 싱크탱크인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의 연구원 샘 레어는 “우크라이나 측이 제시한 수치는 아직 확실한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레어는 “우크라이나가 주장한 만큼의 숫자는 아니더라도 이번 공격이 러시아 전략 폭격기 부대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SBU가 표적으로 삼았다고 밝힌 4개 공군 기지 중 위성 사진에 따르면 3개 기지가 피해를 입었다.

항공기가 손상된 흔적이 눈에 띄는 곳은 벨라야 공군 기지와 올레냐 공군 기지 두 곳이었다. 레어에 따르면 세 번째 공군 기지인 디아길레보에서는 불에 탄 풀 조각만 보였다.

피해를 입은 항공기 대부분은 투폴레프 Tu-95 폭격기였다.
이 소련 시대 항공기는 여전히 러시아의 장거리 미사일 작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레어는 Tu-95의 손상 정도는 항공기의 노후화와 부품 부족을 고려할 때 아직 불분명하지만, 항공 임무를 수개월 동안 지연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일 기자들에게 “러시아가 자신들이 안전하며 전쟁에서 승리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전혀 통하지 않는다”며 “러시아는 안전하지 않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drag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