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국힘, 오늘 의총 '쇄신 갈림길'…총사퇴·패배 책임론 분출할 듯

뉴스1

입력 2025.06.05 05:03

수정 2025.06.05 05:03

김용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6.4/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김용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6.4/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서울=뉴스1) 한상희 박기현 기자 = 국민의힘이 5일 국회 본회의에 앞서 의원총회를 열고 21대 대통령 선거 패배 이후 당 쇄신 방향을 논의한다. 친한(한동훈)계와 소장파를 중심으로 지도부 총사퇴 요구가 집중적으로 제기될 전망이다.

이날 오전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이어 열리는 의총에선 대법관 증원 법안(법원조직법 개정안) 대응과 함께, 대선 패배 이후 당 쇄신책이 핵심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는 당장 물러날 뜻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권 초 개혁 드라이브에 속도를 내는 이재명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지금은 리더십 공백보다 대응 역량 유지가 우선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김 비대위원장은 전날(4일)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 후 기자들과 만나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도 중요하지만, 개혁의 기치가 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많은 의원이 생각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지도부 총사퇴 요구에 대해서도 "사퇴를 주장한 의원들도 결과적으로 당이 선거 패배에 대한 변화 의지가 있는가, 개혁을 중단 없이 추진해 나갈 의지가 있느냐를 더 중요하다고 보는 것 같다"며 조만간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거취에 대해 직접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지도부 내부에서도 '김용태-권성동' 투톱 체제로 연말까지 끌고 가긴 어렵다'는 인식이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 안팎에서는 최소한 '전면에 새로운 얼굴을 세우는 수준의 쇄신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한다.

일각에선 의총 이후 현충일 연휴(6~8일)를 거치며 국면이 전환될 경우, 지도부 책임론이 자연스럽게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김 비대위원장의 임기가 이달 말까지인 만큼, 당은 곧 새 비대위 구성 수순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쇄신 방향을 둘러싼 계파 간 시각차도 뚜렷하다. 친한계는 최대한 빨리 전당대회를 열어 정식 당대표를 선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영남 기반 당 주류에선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비대위 체제를 유지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처럼 외부 혁신형 인사를 영입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의총을 앞두고 당내 갈등은 이미 표면화하고 있다.
일부 의원들이 김문수 전 대통령 후보를 중심으로 당을 재정비하자고 주장하는 한편, 친한계는 지도부 총사퇴 뒤 계엄과 탄핵에서 자유로운 한 전 대표를 중심으로 당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보수 지도자 연석회의 구성도 해법 중 하나로 거론됐다.
이정현 전 대표가 선대위 해단식에서 직접 제안한 것으로, 30~100명 규모의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켜 당 운영 전반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쇄신 방안을 도출하자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