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국가 대표 초거대언어모델(LLM)을 만들어 모든 스타트업과 국민이 무료로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AI를 가장 잘 사용하는 국민을 만들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서는 빠르게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보해야 한다. AI 전략을 만들고 이행할 컨트롤타워의 역할도 중요하다. AI 정책의 성패는 '속도'에 달렸다.
5일 정보기술(IT)업계에서는 이재명 정부가 태스크포스(TF)를 띄워 AI 정책의 구체적인 실현 계획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재명 정부는 대통령실에 'AI 정책수석'을 만든다. 국가 전체의 AI 전략을 수립·집행하고 전체를 총괄하는 최고인공지능책임자(CAIO) 역할이다.
"하루 빨리 AI 정책수석 임명하고 TF 만들어야"
하정우 과실연(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공동대표는 "AI 정책수석을 하루빨리 임명하고, 즉시 TF를 만들어야 한다"며 "국내 AI 전문가를 최대 10명 정도 모아서 어떻게 AI 정책을 실현해나갈지 계획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영국은 지난 1월 규제기관에 AI 활성화를 주문하는 'AI 오퍼튜니티 액션 플랜'에 돌입했고, 유럽연합(EU)은 지난달 대규모 AI 인프라 구축과 규제 완화를 핵심으로 하는 'AI 대륙 액션 플랜'을 공개했다. 미국은 AI 정책·전략 로드맵인 'AI 액션 플랜'을 오는 7월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은 지금부터 준비해도 늦었다.
또 대통령 직속 기구인 '국가 AI 위원회'의 역할이 강화되는 만큼 훨씬 더 실무 경험과 역량을 가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현재 위원회는 각 부처 공무원의 보고시간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하 대표는 "AI 정책 수석은 정치인, 관료가 아닌 진짜 전문가를 책임자로 세워야 한다"며 "AI 정책 수석과 위원회는 AI를 개발하고 도입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는 규제와 예산을 틀어쥐고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GPU 확보 속도전…미국과 외교 중요
국가 대표 LLM을 만들기 위해서는 GPU의 빠른 확보가 관건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년 내 GPU 3만 장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내놨지만 더 많을 수록, 더 빠를 수록 좋다.
GPU 확보를 위해서는 민관이 협력해 미국과 협상을 해야 한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AI칩 1만 8000개 이상을 확보한 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동 방문 일정 중에 발생했다. 협상에 성공한 셈이다.
하 대표는 "필요하면 대한민국 정부가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를 맺을 수도 있는 것"이라며 "정부가 외교를 하고 기업이 가격을 협상해 최대한 많은 GPU를 가져와야 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는 한국을 'AI 3강 국가'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다만 순위를 올리기 위한 정량적 지표에 집착하면 안 된다. 적절한 안전 규제도 필요하다.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는 "정부가 엄청난 돈을 쏟아 AI를 키울텐데 그 돈이 핵심 기업에만 치중하면 안 된다"며 "중소기업, 스타트업도 같이 올라가는 방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국가 순위보다 중요한 건 AI를 썼을 때 국민의 삶의 질이 올라가는 것"이라며 "최소한의 안전을 위한 규제를 적용해 AI로 인한 전환이 지속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