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부산시가 노후 경유 청소차량을 수소청소차로 전환한다. 올해 5대를 시작으로 2028년까지 총 65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5일 오후 부산시청 야외주차장에서 전국 최대 규모의 수소청소차 도입을 기념하는 시민 공개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수소로 달리는 청소차, 거리를 깨끗이, 하늘도 깨끗이'라는 표어 아래 지속 가능한 도시환경 조성 의지를 알리고, 시청에 새롭게 도입되는 수소청소차를 시민에게 선보이기 위해 마련됐다.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한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 강성태 수영구청장 등 주요 인사들과 동구, 영도구, 동래구, 현대자동차, 에이엠특장 관계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되는 수소청소차는 압축식진개차(9.3톤)과 압롤트럭(10톤) 두 종류다.
압축식진개차는 무게는 작지만 부피가 큰 다양한 쓰레기를 수거하며 압롤트럭은 생활폐기물, 재활용품, 찌꺼기 등 다양한 폐기물을 운반한다.
현대자동차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에 청소작업 특장시스템을 갖춰 생활폐기물부터 재활용품 등 다양한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수거 운반할 수 있으며, 짧은 충전 시간과 함께 20kg의 수소로 한번 충전 시 최대 400~500km 운행할 수 있다.
시는 총 1084대의 경유 폐기물 수집·운반차량 중 내구 연한이 지난 청소차량을 친환경 수소청소차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2028년까지 총 65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올해는 국비 36억 원을 포함한 총 42억 7000만 원을 들여 동구 2대, 영도구·동래구·수영구에 각 1대씩 총 5대를 우선 도입한다.
수소청소차는 수소를 연료로 해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얻은 전기로 운행해 배출가스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엔진 소음과 진동도 거의 없어 작업자의 근무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 지자체 중 최대 규모인 만큼 향후 시의 폐기물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에너지 생산 기반 마련에 중요한 공공 수요처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박형준 시장은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수소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수소청소차 운행으로 이어지는 탄소 배출 없는 청정하고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 모델을 구현해 폐기물 처리의 혁신적인 진화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